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로 출근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친한동훈(친한)계인 김종혁 최고위원이 16일 같은 친한계인 장동혁 수석최고위원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자 사의를 표명한 것에 대해 “사전에 상의를 하지 않고 사의를 표명한 것은 정치도의상 별로 옳아 보이지는 않는다”고 했다. 지난 7일 선출직 최고위원(장동혁,진종오, 인요한, 김민전, 김재원) 5명 전원이 의원총회에서 사의를 밝히면서 ‘한동훈 지도부’가 붕괴되자 친한계 내부에서도 책임 공방이 벌어진 모양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서 ‘한동훈 지도부’가 붕괴된 원인과 관련해 “선출직 5명 중에서 5명이 사퇴를 했는데, 장동혁 수석최고위원이 사퇴하겠다고 얘기를 하시면서 줄줄이 사퇴가 이어졌다”며 “장 수석최고위원은 한동훈 대표와 러닝메이트를 해서 수석최고위원이 되신 거고, 비대위원장 시절에 선거를 치를 때 사무총장이셨다”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어 “두 분이 오랫동안 함께 손발을 맞춰왔는데 본인이 당내의 수많은 압박이라든가 뭐 이런 것들이 있었던 걸로 생각이 된다”며 “장 최고위원은 무조건 탄핵은 막자는 거였으니 이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한동훈 대표와 입장이 안 맞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분(장 최고위원, 진종오 최고위원)이 모두 사전에 한동훈 대표하고 말씀을 안 하고 서로 상의를 하지 않고 그 현장에서 나는 못 하겠다라고 사의를 표명한 것은 정치도의상 별로 옳아 보이지는 않는다”고 했다.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도 이날 MBC 라디오에서 “장 최고위원이나 진 최고위원은 지난번 전당대회에서 자력으로 당선됐다기보다는 팀 한동훈 일원으로, 한동훈 러닝메이트로 당선된 것”이라며 “정치도의상 그런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한 대표와 최소한 상의는 했었어야 되지 않은가”
그는 친한계의 결속력이 약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에 대해 “두 최고위원이 한동훈 대표의 뜻과 다르게 움직였기 때문에 그런 평가가 나오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본다”면서도 “그렇다고 이른바 친한계가 와해되거나 소멸되거나 그런 일은 없을 것이고, 더 단단해질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