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기후변화와 전력 부족’ 독일의 에너지 딜레마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기후변화와 전력 부족’ 독일의 에너지 딜레마

입력 2024.12.23 16:11

기후변화 속에서 독일 에너지 전환 정책 한계

노르웨이 등 이웃 국가에도 영향 끼쳐

독일 서부 뒤스부르크시 인근 공장 굴뚝 옆에 설치된 풍력 터빈. AFP연합뉴스

독일 서부 뒤스부르크시 인근 공장 굴뚝 옆에 설치된 풍력 터빈. AFP연합뉴스

“태양도, 바람도 없다.”

기후변화로 인한 날씨 변동성이 독일 에너지 전환 정책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현지 언론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AZ에 따르면 지난 12일 독일 전력시장에서 도매 전력 가격이 MWh(메가와트시)당 936유로(약 141만원)까지 치솟으며, 18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평균 가격인 115유로(약 17만원)에 비교해 8배 이상 오른 수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을 중단하면서 에너지 위기가 심화했다. 이후 수입국 다변화 등으로 한동안 안정세를 보이던 전력 시장은 다시 큰 위기에 직면했다.

FAZ는 이런 배경으로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를 지목했다. ‘어두운 침체’라는 뜻의 둥켈플라우테는 햇빛과 바람이 거의 없는 기후 현상이다. 태양도 바람도 없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재생 에너지 발전량이 일시적으로 0에 가까워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독일의 올해 에너지원별 발전량은 풍력(140.9TWh)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태양광(74.0TWh), 바이오매스(43.4TWh), 수력(21.1TWh)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풍력과 태양광이 재생 에너지 총발전량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기존의 화석 연료 및 원자력 발전소가 감축되면서 예비 전력 공급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에서 전력 소비가 여전히 높아 재생 에너지만으로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고 FAZ는 보도했다.

영국 인터넷매체 언허드(Unherd)에 따르면 독일의 에너지 시스템은 풍력과 태양광의 변동성을 고려해 매우 유연하게 설계됐다. 그러나 기후 변화 속도는 예상보다 빨랐다.

5~8월까지 독일은 전체 전력의 25%를 태양광에서 조달했지만 11월에는 4.3%로 급격히 떨어졌다. 이론적으로는 가을과 겨울철에 풍력이 향상하면 태양광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데, 에너지 소비가 가장 많은 겨울철에 되레 둥켈플라우테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독일의 이러한 상황은 노르웨이 등 유럽 이웃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독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자 최대 전력 수입국인 노르웨이의 에너지 가격도 상승했다. 노르웨이 남부 지역의 전기 요금이 지난 12일 기준으로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전주 대비 약 20배 상승했다.

테리에 오슬란 노르웨이 에너지 장관은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정말 엉망진창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FAZ는 내달에는 기온 하강으로 전력 수요가 더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데 날씨가 전력 수급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기상 조건이 다시 악화할 가능성을 고려해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매체는 전력 소비를 시간대별로 조정할 수 있는 기기 설치 등 산업체와 가정의 자발적인 대응이나 새로운 발전소 건설 같은 구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