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내란 특검 뭉개는 한덕수, 탄핵 민심과 180도 다르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내란 특검 뭉개는 한덕수, 탄핵 민심과 180도 다르다

입력 2024.12.24 18:14

국회를 통과한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을 뭉개고 있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저의가 의심스럽다. 한 대행은 24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헌법과 법률에 따라 한 치 기울어짐 없이 이뤄졌다고 국민 대다수가 납득해야 한다”면서 두 특검법의 공포를 미뤘다.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 문제도 “여야가 타협안을 갖고 토론하고 협상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여야 합의가 없으면 헌법재판관 임명 절차에도 협조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권한대행 직분을 망각한 채 주권자 위에 군림하려는 한 대행의 태도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 한 대행은 여야의 정치적 합의를 강조하는 모양새를 취했지만, 이는 위선이요 핑계에 불과하다. 내란에 외환 혐의까지 받는 대통령 윤석열이나, 그 비호와 탄핵 방해에만 혈안이 된 국민의힘과 내통하지 않고서야 이런 결정을 내릴 수 없다. 윤석열의 오판으로 망가진 국가 시스템을 바로잡기 위한 입법부·사법부의 노력을 폄훼하고, 마치 자신이 직접 선거로 선출된 새 대통령인 것처럼 헌법을 곡해하고 선동하고 있다.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이 한 대행을 강도 높게 비판한 것도 지당하다.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건 기본적으로 정치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 헌재도 9인 재판관 체제 구성을 국회에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급기야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이 한 대행 탄핵안을 추진함으로써 정국은 미증유의 격랑에 휩싸이게 됐다.

주지하듯 한 대행은 윤석열 내란죄 공범 혐의 피의자다.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무회의를 한 대행이 소집했다. 정족수 11명을 채우자마자 열린 국무회의는 ‘회의록’도 없이 5분 만에 끝났고, 곧바로 비상계엄 선포로 이어졌다. 국무총리로서 한 대행은 윤석열의 불법 행동을 막을 책임이 있었지만 어떤 노력을 했는지, 당시 윤석열로부터 무슨 지시를 받았는지 등은 베일에 싸여 있다. 그런 한 대행에게 주권자가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는 중책을 맡긴 것은 삼권분립의 한 축인 ‘행정부’를 다시 바로세워 조기에 헌정 질서를 수립하자는 취지다. 그런데 한 대행은 주권자를 배신하고, 윤석열 수사·탄핵 절차에 사사건건 어깃장을 놓고 있으니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국회 탄핵 소추 의결엔 윤석열 정부에 대한 국민 총합으로서의 불신임이 담겨 있다. 그러나 한 대행은 “정책의 일관성을 지켜 나가는 것이 대행 체제의 근본”이라며 막무가내식으로 윤석열표 국정을 이어가려 하고 있다. 이런 식이면 민심의 탄핵 강풍을 한 대행도 비켜갈 수 없다.

내란 정국이 길어지면서 민생경제가 한없이 추락하고 있다. 주가가 폭락하고 원·달러 환율은 1450원을 넘었다. 국가 신용도가 급락하고 내수·일자리 위축으로 자영업자·서민 삶이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 한 대행이 시민 편에서 발 벗고 나서도 부족할 판에 ‘윤석열 아바타’ 노릇을 하며 내란을 내전으로 획책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한 대행은 이성을 되찾기 바란다. 넘치는 탄핵 증거와 끓어오르는 민심을 한 대행은 직시하고 부응해야 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24일 서울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열린 ‘서울재팬클럽(SJC) 오찬 간담회’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24일 서울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열린 ‘서울재팬클럽(SJC) 오찬 간담회’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연합뉴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