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미 의회조사국 “윤석열 외교 정책 지속력 의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미 의회조사국 “윤석열 외교 정책 지속력 의문”

“주한미군에 통보 없이 계엄”

동맹 공조 우려 제기 가능성

미국 의회조사국이 한국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미·일 협력 등 윤석열 대통령이 추진하던 외교정책이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의회조사국은 23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한국의 정치 상황에 관해 “윤석열은 한국이 북한, 중국, 일본, 우크라이나 등 현안과 관련해 미국과 더 긴밀히 공조하도록 했다”며 “그러나 일부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두 자릿수로 앞서는 더불어민주당은 완전히 다른 정책을 주장한다”고 밝혔다. 의회조사국은 민주당이 발의한 첫 탄핵소추안에 “지정학적 균형을 도외시한 채 북한과 중국, 러시아를 적대시하고 일본 중심의 기이한 외교정책을 고집했다”는 내용을 탄핵 사유로 포함했다는 것을 그 근거로 들었다.

의회조사국은 또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과 의회는 윤석열이 한국에 있는 미군 지휘관들에게 통보하지 않고 한국군을 계엄령 시행에 투입한 게 동맹의 공조 상태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느냐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관세, 주한미군 규모 및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반도체 등 기술 분야 등에서 한·미관계에 영향을 줄 정책을 추진할 경우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인 한국이 자국 입장을 옹호하는 데 불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의회조사국은 헌법재판소에서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가능성을 이유로 들어 윤 대통령이 추진해온 외교정책의 지속 가능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또 윤 대통령이 북한을 실존적 위협으로 간주하고 대북 억제력을 강조하는 강경책을 폈지만, 한국의 진보주의자들은 대화정책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