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제르바이잔 여객기 사고
악천후·드론 오인 공격 등
항로 크게 벗어난 이유 추측

25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악타우 인근에 추락한 아제르바이잔 항공 여객기 사고 현장에서 구조대원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카자흐스탄에서 추락해 60여명이 사상한 아제르바이잔 항공 여객기 사고의 원인을 두고 추측이 분분하다. 새 떼 충돌, 러시아군의 오인으로 인한 격추 등이 거론된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CNN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교통 사건 담당 검사는 사고 현장에서 항공기 블랙박스를 수거했다고 밝혔다. 아제르바이잔 검찰도 조사팀을 급파해 사고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항공 J2-8243편은 이날 오전 카자흐스탄 서부 악타우시 인근에 추락했다. 해당 항공기에는 승객 62명과 승무원 5명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이날 사고로 38명이 숨지고 29명이 생존했다. 조종사 2명도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락 원인을 두고 여러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항공기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러시아 체첸공화국 그로즈니로 이동하던 중이었다. 이 노선은 육지 위를 날아가면 되는 직선 항로인데 항공기는 카스피해 건너 카자흐스탄에 떨어졌다. 그런 만큼 왜 항로를 크게 벗어나게 됐는지에 의문이 집중된다.
추락 직후에는 러시아 민간 항공 감시업체가 발표한 예비정보를 근거로 ‘새 떼 충돌설’이 거론됐다. 새 떼와 부딪치며 비상 상황이 발생해 기장이 항로를 변경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로이터는 새 떼 충돌사고의 경우 항공기가 가까운 벌판에 비상착륙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전했다.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새 떼 충돌을 원인으로 특정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밝혔다. 그는 “전달받은 정보에 따르면 해당 항공기는 악천후로 항로를 변경해 악타우 공항으로 향했고 착륙 시도 중 추락했다”고 말했다. 사고 당시 안개가 짙었다고 전해졌다.
러시아군이 항공기를 우크라이나 무인기(드론)로 오인해 공격했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로이터는 드론 활동으로 과거에도 이 일대 공항이 폐쇄된 적이 있으며, 추락 항공기의 항로와 인접한 체첸공화국 마하치칼라 공항이 이날 오전 폐쇄된 상태였다는 점에 주목했다.
목적지였던 그로즈니는 최근 몇주 동안 우크라이나 드론에 대응해 러시아 방공 체계가 가동됐던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