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선원’ 갈수록 감소하고 고령화…정부, 선원정책 기본계획 수립

안광호 기자
부산항 5부두에 선박들이 정박하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부산항 5부두에 선박들이 정박하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한국인 선원 3명 중 2명은 50세 이상으로, 향후 ‘선원 공급절벽’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선원을 양성하고 장기 승선을 유도하기 위해 경력 단절 선원의 승선 근무 복귀를 지원하고 선내 초고속 인터넷 도입을 추진한다.

2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적을 가진 ‘국적 선원’은 2019년 3만4123명에서 지난해 3만587명으로 3536명(10.3%)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선원 6만1023명 중 국적 선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50.1%, 외국인 선원은 49.9%로 한국인 국적 선원은 감소한 반면 외국인 선원은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국적 선원 중 50대 이상 선원은 2만510명으로 전체의 67.0%에 달했다.

이에 해수부는 해운 산업의 핵심 인력인 국적 선원을 양성하고 전체 선원의 근무환경과 복지를 개선하는 내용의 ‘제2차 선원정책 기본계획’(2024∼2028)을 수립해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발표한 ‘선원 일자리 혁신 방안’을 이행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다.

한국인 선원 공급을 늘리기 위해 경력 단절 선원의 승선 근무 복귀를 지원한다. 또 일반인을 대상으로 선원 취업 연계 교육을 확대한다. 아울러 외국인 선원 제도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는 등 외국인 선원의 도입·관리 제도의 공공성을 높이기로 했다.

선원 복지를 강화하는 대책도 내놨다. 선내 초고속 인터넷 도입을 지원하고 선원 민원 행정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추진한다. 선원 근로 기준 보장과 인권 침해 예방에 힘쓰고 선원 안전·보건 관련 법령을 마련한다. 또 친환경·첨단 선박 맞춤형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첨단 실습선 건조 등 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기로 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선원은 우리나라 무역량의 99.7%를 책임지는 해운산업의 핵심 인력”이라며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이 강조됨에 따라 선원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선원 수급을 위한 중장기 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계속되는 달러와 연료 부족, 거리로 나선 목장주와 사업가들 캘리포니아주에서 열린 다저스 팀의 야구 훈련 저먼윙스 비행기 추락 10년, 추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 근처 주거 건물까지 번진 쇼핑 센터에서의 화재..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오랜 시간 산사태가 발생하는 랜초 팔로스 베르데스 반도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계속되는 러시아 공습에 뉴욕에서 집회가 열리다.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5주 만에 퇴원한 교황, 최소 2달은 안정 취해야.. 연이은 가자지구 공습, 보이지 않는 전쟁의 끝 올해 초 산불 여파 가시기 전, 또 다시 산불 발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