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생존자 2명은 모두 승무원…서울 소재 병원으로 이송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생존자 2명은 모두 승무원…서울 소재 병원으로 이송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일어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사고 현장에서 119 소방관과 구급대원들이 수색 작업하고 있다. 무안|문재원 기자 사진 크게보기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일어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사고 현장에서 119 소방관과 구급대원들이 수색 작업하고 있다. 무안|문재원 기자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서 구조된 생존자 2명은 모두 제주항공 승무원이었다. 사고로 부상을 당한 채 구조된 승무원들은 현지 병원으로 이송돼 1차 치료를 받은 뒤 가족의 희망을 반영해 서울 소재 병원으로 각각 이송됐다. 두 사람은 비교적 파손이 덜했던 기체 후미 부근에서 구조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현장에서 구조된 여성 승무원 A씨(25)는 이날 오후 7시35분쯤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에 도착했다. A씨는 현장에서 구조된 후 목포중앙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오후 3시50분쯤 앰뷸런스를 타고 서울아산병원으로 출발했다.

A씨는 이송용 침대에 누워 병원에 도착했다. 가족으로 보이는 여성과 제주항공 직원으로 보이는 2명이 함께 도착했다. 이들은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며 취재진의 질문에 응하지 않았다.

앞서 A씨를 진료한 심재철 목포중앙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언론 인터뷰에서 A씨가 “뭔가 쿵 부딪히는 것처럼 폭발하는 굉음이 났고 확인을 해보니까 연기가 심하게 났고 비행기가 추락하는 것 같았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사고 현장에서 구조된 남성 승무원 B씨(33)도 목포한국병원으로 이송됐다가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으로 이송됐다. 오후 4시15분쯤 병원에 도착한 B씨는 이송용 침대에 누운 채로 구급차에서 내려 응급실로 옮겨졌다.

주웅 이대서울병원장은 오후 9시 언론브리핑을 열고 B씨가 흉추를 비롯해 신체 5곳에 골절을 당한 상태라면서 중환자실에 입원했다고 밝혔다. 다만 B씨는 의사소통이 충분히 가능한 상태라고 주 원장은 설명했다. 주 원장은 환자의 트라우마와 회복 등을 감안해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선 자세히 묻지는 않았다면서 “본인이 다시 한번 말씀하시기를 ‘깨어보니 구조돼 있었다’ 정도의 말씀이 있었다”고 재차 말했다. 앞서 B씨는 구조 직후에도 구조대원에게 정신을 잃었다가 깨어보니 구조돼 있었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는 이날 오전 9시3분쯤 제주항공 항공기가 비상착륙을 시도하던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과 충돌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항공기에는 승객과 승무원 등 181명이 타고 있었다. 소방청은 이날 밤 A씨와 B씨를 제외한 탑승자 179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