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 집회…‘탄핵’ 넘어 시민사회 ‘연대’의 장으로

서울에서 제주까지…전국에서 “윤석열 퇴진” 메아리 윤석열 대통령 탄핵 등을 촉구하는 주말 시민 집회가 지방 곳곳에서도 열렸다. 지난 28일 부산 남구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지역구 사무실 앞 집회에서 시민들이 항의하고 있다(왼쪽 사진). 같은 날 제주시청 앞에서 윤 대통령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제주도민대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영하권 추위가 이어진 주말 서울시내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고 약자가 소외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자”는 시민들의 연대 발언이 집회 각지에서 이어졌다.
여성 농민, 가정 밖 청소년, 이주노동자 등 다양한 배경의 시민들이 무대에 올라 동료 시민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십자각 인근에는 지난 28일 오후 4시 시민 50만여명(주최 측 추산, 경찰 비공식 추산 3만5000명)이 모였다.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광화문 인근에서 집회를 열고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 앞과 헌법재판소를 지나 명동까지 행진을 진행했다.
시민들은 색색의 응원봉과 직접 만들고 쓴 손팻말·깃발을 들었다. 행진에 나선 시민들은 “윤석열을 체포하라” “헌법재판관 즉시 임명하라”고 외쳤다.
먹거리와 문화예술 공연으로 연대를 전한 이들도 있었다.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의 ‘전봉준투쟁단’ 등은 거리의 시민들에게 따뜻한 음료와 떡을 나눴다. 밴드 이날치와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는 “내란‘범’만큼은 잡아야 하지 않겠냐”며 ‘범 내려온다’ 공연을 선보였다.
시민들은 무대에 올라 “함께 새로운 세상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청년 여성 농부인 향연씨(활동명)는 “많은 시민이 남태령을 찾아오면서 우리는 긴 동짓날 밤을 지나 승자가 될 수 있었다”며 “남태령의 불꽃은 전장연(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으로, 동덕여대로 곳곳에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 밖 청소년이라 밝힌 민지환군은 “저와 같은 학교 밖 청소년뿐만 아니라 여성, 성 소수자, 장애인도 남의 눈치 보지 않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세상을 여기 계신 모든 분과 만들어가고 싶다”고 했다.
동덕여대 졸업생 연대의 김강리씨는 “후배들이 전장연과 함께하는 모습을 보며, 전농이 ‘동덕여대의 투쟁이 부정되거나 파괴돼선 안 된다’고 말한 것을 보며 우리는 함께하는 것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었다”고 했다.
전날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국민의힘 의원들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정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유족들에게 진심 어린 사과조차 거부한 자가 어떻게 대통령 권한대행을 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태원은 세월호처럼 가면 안 된다’며 이태원·세월호 유족들을 모욕하는 발언을 한 자”라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보신각 인근에서 집회를 연 후 광화문으로 행진해 시민 행렬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