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서울 아파트 거래 4개월째 줄어…‘악성 미분양’ 4년4개월만 최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서울 아파트 거래 4개월째 줄어…‘악성 미분양’ 4년4개월만 최대

전국 주택 매매량 전월 대비 13% 감소

서울 시내 빌라 밀집 지역과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 빌라 밀집 지역과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강력한 대출 규제가 이어지며 서울 아파트 거래가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아파트 거래를 포함한 지난달 전국 주택 거래량은 전달보다 13% 줄었고, 전월세 거래도 9.5% 감소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4년4개월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기준 전국 주택 거래량과 인허가 실적 등을 담은 ‘11월 주택 통계’를 31일 공개했다.

11월 전국 주택 매매량은 4만9114건으로 전월(5만6579건)보다 13.2% 떨어졌다.

수도권은 2만1777건으로 전월보다 12.9% 감소했고, 지방은 2만7337건으로 전월 대비 13.4% 감소했다.

유형별로 전국 아파트 거래는 3만6399건으로 전월보다 15.2% 줄었다. 특히 서울 아파트(3773건)는 5.7% 감소하며 4개월째 거래량이 축소됐다.

정부는 지난 8월 무주택자용 대출인 디딤돌·버팀목 대출 금리를 상향 조정하고, 9월에는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시행한 후 강력한 대출 규제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11월 전국 전·월세 거래는 19만1172건으로 전월(21만1천218건)보다 9.5% 줄었다. 수도권(12만7494건)은 10.8%, 지방(6만3678건)은 6.7% 감소했다.

올해 1~11월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7.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포인트 증가했다.

11월 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6만5146가구로 전월(6만5836가구) 대비 1.0%(690가구) 감소했다. 수도권(1만4494가구)은 3.9% 늘어났지만, 지방(5만652가구)은 2.4% 줄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월보다 1.8%(337가구) 늘어 총 1만8644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7월(1만8560가구)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수도권에서는 서울(603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이 15.3%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인천(1544가구)과 경기도(1695가구)는 각각 0.2%, 4.4% 감소했다.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은 2.3% 늘어난 1만4802가구로 집계됐다. 지난달 전국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가장 많은 곳은 전남(2452가구)으로 나타났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