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형식, 이미선 헌법재판관이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소심판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첫 변론준비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국민 절반 이상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헌법재판관을 임명해야 한다고 답했다. 보수세가 강한 대구·경북에서도 헌법재판관 임명에 찬성한다는 입장이 근소한 차이로 많았다.
경향신문의 이번 여론조사에서 ‘헌법재판관 3명의 임명동의안을 최 권한대행이 임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6%는 ‘임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명해서는 안 된다’는 이들은 33%였다.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한 입장은 지지하는 정당이나 이념 성향별로 양분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진보 성향 응답자 중 75%,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고 있다는 응답자 중 81%는 임명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반면 보수 성향 응답자 중 55%,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응답자 중 67%는 임명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중도 성향이나 무당층 중에서는 헌법재판관 입장을 찬성하는 입장이 대체로 많았다. 비상계엄 사태의 충격으로 인해 중도와 무당층이 윤석열 대통령에 비판적인 입장으로 돌아선 영향으로 분석된다. 중도 응답자들 중에선 헌법재판관 임명에 찬성하는 이들이 61%, 반대는 30%였다. 무당층에서는 찬성 47%, 반대 33%였다.
거주 권역별로 보면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권역에서 ‘임명해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특히 광주·전라(76%)와 강원·제주(68%)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도 높은 추세를 보였다. 대구·경북 거주자 중에서도 임명 찬성 45%, 반대 43%로 근소한 차이로 응답이 갈렸다. 정치적으로 보수 성향,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에서도 임명에 찬성하는 입장이 높게 나온 것은 주목할만하다.
연령대별로는 임명해야 한다는 응답이 18~29세 중 51%, 30대 59%, 40대 68%, 50대 68%로 대부분의 연령에 걸쳐 우세하게 나타났다. 70세 이상에서도 찬성 44%, 반대 38%로 오차범위 내에서 찬성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계엄령에 대한 부정적 경험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60대에서는 임명 반대가 47%로, 찬성 44%보다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