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여인형·이진우 구속기소···“반국가세력·부정선거 수사본부 편성 계획”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여인형·이진우 구속기소···“반국가세력·부정선거 수사본부 편성 계획”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동원된 군 지휘부. 왼쪽부터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연합뉴스·경향신문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동원된 군 지휘부. 왼쪽부터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연합뉴스·경향신문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31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을 재판에 넘겼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이어 두번째 기소다. 군 지휘부가 계엄 선포 전부터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 안에 ‘반국가세력 수사본부’와 ‘부정선거·여론조작 수사본부’를 꾸리려던 계획도 드러났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이날 여 전 사령관과 이 전 사령관을 내란 중요임무 종사·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중앙지역군사법원에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윤석열 대통령, 김 전 장관과 충암고 동문으로, 이번 사태의 핵심 인물로 꼽힌다. 검찰에 따르면 여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으로부터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 조국 당시 조국혁신당 대표,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 주요 인사 10여명에 대한 체포·구금을 지시받았다. 여 전 사령관은 이후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안보수사요원 100명 지원과 체포 대상자들에 대한 위치추척을 요청하고, 박헌수 국방부 조사본부장에게 수사관 100명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 전 사령관은 김대우 전 방첩사 수사단장에게 체포 대상자들을 신속하게 체포해 수방사 B1벙커로 이송하라고 지시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가결이 임박하자 김 전 장관으로부터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이 3명부터 잡아라’라는 지시를 받고 김 전 단장을 통해 국회로 출동 중인 방첩사 수사관들에게 그 명령을 전달한 혐의도 받는다. 김 전 장관에게서 선관위 장악 및 전산자료 확보 지시를 받고 방첩사 병력 115명에게 고무탄총 등을 소지한 채 선관위로 출동하게 한 혐의도 있다.

이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 김 전 장관으로부터 ‘병력과 함께 국회로 출동해 현장을 지휘하면서 2선에서 국회를 봉쇄함으로써 국회의원들의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의결을 저지하라’는 지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엄 선포 하루 전인 지난 2일에는 김 전 장관에게 ‘대테러 초동 조치 부대 선 투입·본관 배치, 후속 1개 대대 투입’ 등을 시행하겠다고 보고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전 사령관은 보고 후 휴대전화로 ‘문을 열거나 부수는 데 사용하는 도구’ ‘쇠지렛대’ ‘국회해산이 가능한가요’ ‘대통령 국회 해산권 있나요?’ 등을 검색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윤 대통령 주장과 달리 계엄 선포 전부터 국회의 계엄해제 의결을 막는 방안을 검토한 정황으로 볼 수 있다.

이 전 사령관은 지난 3일 계엄이 선포되자 수방사 병력의 국회 출동을 지시했다. 또한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등과 여러 차례 통화해 경찰의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은 당시 이 전 사령관에게 여러 차례 전화해 본회의장에 있는 의원들을 강제로 끌어내라고 지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전 사령관은 조성현 수방사 1경비단장을 통해 이 같은 지시를 현장에 하달했다.

검찰은 이들의 휴대전화 포렌식 등을 통해 계엄 하에서의 실행 계획을 사전에 모의한 정황을 확인했다. 검찰에 따르면 여 전 사령관이 3일 오전 11시25분 작성한 휴대전화 메모장에는 ‘합수본은 방첩수사단장의 반국가세력 수사본부, 1처장의 부정선거·여론조작 수사본부로 편성’ ‘참모장은 경찰, 국방부 조사본부로부터 각 100명씩 수사관을 파견받을 것’이라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또한 ‘1처장은 사이버사령부로부터 사이버조사 전문팀을 파견받을 것’ ‘과학수사실, 정보보호단은 부정선거·여론조작 수사본부 지휘를 받을 것’이란 내용도 담겼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이틀 전인 1일에는 반국가세력 수사본부 운영과 관련한 메모도 남겼다. ‘경찰·조사본부, 30명 위치파악, 합동체포조 운용’ ‘수방사, 조사본부, 문서고 구금시설, 국군교도소 구금 운영 준비’ ‘출국금지’ 등이다.

이 전 사령관 휴대전화 메모에서는 계엄 하루 전 대테러부대인 ‘수호신TF’ 출동을 준비시킨 정황이 확인됐다. 또한 ‘(필요시) 서울시장, 경찰청장과 공조통화 실시’라는 내용도 적혀있었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이후 출동 병력을 대상으로 쇠지렛대, 망치, 톱, 공포탄 등을 휴대시킨다는 내용도 담겼다.

여 전 사령관은 이날 기소 후 변호인을 통해 “계엄은 전시비상 조치라는 소신을 상급자들에게 여러 차례 밝혔다”며 “재판 과정에서 계엄에 관한 부정적 소신과 이에 따른 소극적 이행 의지 등이 규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