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년보다 10.4%나 올라
과일·채소 등 신선식품이 주도
냉해·고온 현상으로 생육부진

2024년 이상기후로 인해 과일과 채소 등 신선식품 물가가 크게 오르며 1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중반으로 전년보다 둔화 흐름을 보였지만, 최근 고환율 영향으로 당분간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2024년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8(2020년=100)로 전년보다 2.3% 올랐다.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0.5%)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지만, 물가안정 목표치(2.0%)보단 높다. 연간으로는 2022년 5.1%를 정점으로 2023년(3.6%)까지 고물가 흐름이 이어졌지만 2024년 들어 한풀 꺾였다.
2024년 물가는 과일과 채소 등 신선식품 물가가 끌어올렸다. 전년보다 9.8% 올랐는데, 이는 2010년(21.3%) 이후 최고치다. 이 가운데 신선과실이 17.1%, 신선채소가 8.2% 각각 상승했는데, 신선과실 물가 상승률은 2004년(24.3%)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다. 품목별로는 배(71.9%), 귤(46.2%), 사과(30.2%), 배추(25.0%), 토마토(21.0%)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를 포함한 전체 농산물 물가는 10.4% 올라 2010년(13.5%) 이후 14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해에 냉해를 입은 사과와 배의 생산량 감소 영향이 2024년까지 이어졌고, 연초엔 잦은 비와 일조량 부족으로 농산물 생육이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또 여름철엔 이례적인 고온 현상으로 인해 노지 채소류마저 생산량이 감소하는 등 기후변화 심화로 농산물 수급이 차질을 빚었다고 덧붙였다.
2025년 소비자물가는 고환율로 인해 당분간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석유류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이후엔 시차를 두고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 등에 반영되면서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이날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기저효과와 고환율 영향 등으로 12월 물가가 1%대 후반으로 올랐다”며 “다음달(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 완화 대책을 내놨다. 12월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와 경유·압축천연가스(CNG) 유가 연동보조금을 오는 2월 말까지 연장하고, 겨울철 유류비와 난방비 부담을 낮출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