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사회성 발달에 악영향
신경심리학적 평가로 조기 진단
언어치료·특수교육으로 개선
초등학교에 입학한 아이가 책을 오래 읽지 못하거나 글쓰기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면 단순히 흥미가 없어서인지 아니면 난독증인지 세심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난독증과 같은 학습장애가 있으면 학교 수업이 어렵고 자신감이 점점 낮아져 위축되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난독증은 글을 유창하고 정확하게 읽기 어렵거나 철자를 잘못 쓰는 학습장애의 한 유형이다. 다양한 진단 기준이 있어 용어가 비교적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뇌의 신경발달장애와 관련이 깊다는 연구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특히 좌뇌의 언어와 읽기 기능 담당 부위에서 이상이 나타나며, 유전적인 영향이 커 가족력이 있으면 난독증 발생 가능성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관여해 초기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데, 주로 음운 처리 능력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동의 난독증을 발견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주로 초등학교 입학 후일 때가 많다. 또래에 비해 읽기 속도가 느리거나 철자를 자주 틀리는 모습을 보인다. 장대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난독증은 학습 문제를 넘어 아이의 자존감과 사회성 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부모 등 주변의 관심과 적절한 지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난독증을 치료하려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지능검사와 학업 성취도 평가, 정보처리 능력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평가 등을 통해 난독증을 겪는 아이의 학습능력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난독증으로 확인됐다면 언어치료와 특수교육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치료 과정은 음운 인식 훈련을 비롯해 자·모음과 단어를 어떻게 발음하는지를 배우는 교육, 해독 훈련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학령기 전에 난독증을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대부분 어려움을 최소화하거나 극복할 수 있다.
다만 치료와 교육이 늦어지면 어려움도 길어지고, 커진다. 장대현 교수는 “난독증의 증상은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어 청소년기에도 여전히 독서나 공부를 싫어하고 성인이 돼서도 맞춤법에 잦은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더 많은 이해와 지원이 필요한 아이로 바라보고 함께 노력하면 학습의 큰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