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건강수명 9년 격차

이명희 논설위원
대한민국이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지난해 12월 24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 앞이 식사를 기다리는 노인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민국이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지난해 12월 24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 앞이 식사를 기다리는 노인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 실학자 이익이 <성호사설>에 ‘노인십요’(老人十拗)라는 글을 썼다. 그가 묘사한 노인이 겪는 열 가지 좌절은 이렇다. 대낮에 꾸벅꾸벅 졸음이 오고 밤에는 잠이 오지 않으며, 울 때는 눈물이 없고, 웃을 때는 눈물이 흐른다. 30년 전 일은 기억해도 눈앞의 일은 문득 잊어버리며, 고기를 먹으면 뱃속에 들어가는 것이 없어도 모두 이 사이에 낀다. 흰 얼굴은 도리어 검어지고 검은 머리는 도리어 희어진다.

이익은 노화로 인한 신체 변화를 재치 있게 적었다. 지금 나이 든 사람들의 한탄과 어찌 그리 똑같은지 웃음이 난다. 새해가 된 이맘때쯤 나오는 “이렇게 또 한 살 먹는구나”란 흔한 푸념도 결국 노화에 대한 두려움이 스며든 반성일 것이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2020년 기준 84.55세다. 건강수명은 이에 크게 못 미치는 71.82세다.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 또는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이다. 그러니까 한국인은 약 72년 건강하게 살다가 13년은 병원을 들락거리는 신세로 지내야 한다는 뜻이다. 윤석준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 데이터를 토대로 소득 수준과 건강수명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

소득도 관련이 있었는데, 부자가 더 건강하게 오래 살았다. 소득이 가장 많은 층의 건강수명은 74.88세였다. 반면 소득이 가장 낮은 층은 66.22세로, 8.66년이나 차이가 났다. 건강수명도 계층별 격차가 커졌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연구팀의 분석은 건강수명이 짧은 집단을 우선 고려해 건강 불평등 해소 전략을 마련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과거엔 ‘골골 팔십’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장수가 으뜸이었다. 하지만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에선 자리 보전하고 누울까봐 겁이 난다. 그래서 100세 시대 희망 사항은 ‘9988234’(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 2~3일 앓다 죽는 것)라고 한다. 잘 먹고, 잘 자고, 꾸준히 운동해야 가능한 일이다. 이는 개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일이다. 건강하게 늙는 것이 부자들만 누릴 수 있는 특별한 일이 될까 두렵다. 모든 세대가 ‘노인을 위한 나라’로 가는 길을 찾아야 한다. 노년은 누구에게나 곧 닥친다.


Today`s HOT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인도네시아의 설날을 준비하는 이색적인 모습 휴전 이후의 가자지구 상황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다수의 사망자 발생, 터키의 한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각 나라 겨울의 눈보라 치고 안개 덮인 거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