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
플랫

플랫팀

여성 서사 아카이브

한경협, OECD 38개국 여성 노동 지표 분석 결과 발표

“육아·가사 부담, 경제활동 참여 저해하는 주요 요인”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 등 한국의 여성 노동 지표가 지난 20년 내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OECD 38개 국가의 15~64세 여성 노동 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23년 기준 고용률은 61.4%, 경제활동 참가율은 63.1%로 모두 31위로 집계됐다.

한 취업박람회에서 여성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한 취업박람회에서 여성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플랫] 30대 여성 고용률 추락 부르는 ‘경력단절’, 한국이 최악

2003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 순위를 보면 고용률은 2003년 27위에서 20년 뒤 31위로 4계단 떨어졌다. 그 사이 순위는 한 번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32위에서 1계단 오르는 데 그쳤다.

특히 2021년 기준 한국에서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56.2%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 이상 국가, 일명 ‘30·50클럽’ 7개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30·50클럽’의 평균 고용률은 68.2%였다.

그래픽 이아름 기자

그래픽 이아름 기자

한경협은 “한국은 육아·가사 부담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선진국 수준으로 여성 고용을 확대하려면 여성들이 일·가정 양립 부담을 덜고 경제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경협은 여성 고용률이 70%를 넘는 독일(73.7%), 일본(73.3%), 영국(72.2%)과 한국을 비교한 결과 유연한 노동 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의 2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노동 시간을 주 단위로 제한해 1주 연장근로를 최대 12시간으로 한 반면 독일·일본·영국은 월 단위 이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한경협은 전했다.

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정책 지출 비중(2020년 기준)은 1.5%로, 독일(2.4%)이나 영국(2.3%)·일본(2.0%) 3개국 평균인 2.2%보다 낮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이 선진국처럼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자녀를 가진 여성인력 일자리의 유지와 확대가 중요하다”며 “근로 시간 유연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근로 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을 강화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 김경학 기자 gomgom@khan.kr

TOP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