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장년층 분석 결과
5년 새 이용액 2배 ‘껑충’
서울에 사는 50·60대가 5년 전보다 온라인 쇼핑 이용을 2배로 늘리는 등 적극적인 소비 성향을 띤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서울 거주 중장년층(40~64세)의 소비 트렌드를 분석한 ‘서울시 중장년 소비 및 정보 활용 트렌드 분석 연구보고서’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9일 밝혔다.
보고서에선 KB국민카드의 신용카드·체크카드 소비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 대상은 서울시 거주 20~64세의 2019년 매 분기 마지막 달인 3·6·9·12월과 2023년 11월~2024년 10월의 월별 데이터였다. 지난해 중장년층의 소비액은 2019년에 비해 50% 이상 늘었다. 50~54세는 51.0%, 55~59세는 57.5%, 60~64세는 63.1% 증가했다.
온라인 업종에서는 중장년층의 소비 증가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50~54세는 온라인 업종 소비 비중이 119.2%, 60~64세는 141.7% 늘었다. 보고서에선 “온라인 시장에서 시니어 소비층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분석됐다.
50대는 교육 분야 소비도 크게 늘었다. 50대 이상의 2019~2024년 교육 분야 소비 증가율은 45.0%로, 40대(10.4%)의 4배 이상이었다. 보고서에선 “50대 이상의 초중고등학교 관련 소비액 증가율도 높았다”며 “학부모로서 교육비에 공격적인 소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연령의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했다.
40대의 소비는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40대는 소비가 감소하거나 소비액 증가분이 다른 연령대보다 적었다. 40대의 지난해 유통 소비는 2019년 대비 12.3% 줄었고, 같은 기간 여가 소비는 7.7% 감소했다.
연구를 진행한 하재영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 책임은 “중장년이 적극적인 소비자로 변모하고 있는데, 이는 중장년의 가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며 “이들의 소득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