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용산의 장군들은 왜 12·3 비상계엄을 거부하지 못했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용산의 장군들은 왜 12·3 비상계엄을 거부하지 못했나

입력 2025.01.10 17:01

20년 넘게 국방부 지켜본 박성진 안보22 대표 신간

박성진 안보22 대표가 12·3 비상계엄의 뒷 이야기를 파헤친 ‘용산의 장군들’이 10일 발간됐다. 메디치미디어 제공

박성진 안보22 대표가 12·3 비상계엄의 뒷 이야기를 파헤친 ‘용산의 장군들’이 10일 발간됐다. 메디치미디어 제공

용산의 장군들은 왜 12·3 비상계엄을 거부하지 못했을까.

국방부를 20년 넘겨 지켜 본 박성진 안보22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절대 충성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부터 살핀다. 박 대표는 이렇게 썼다. “김 전 장관의 군맥은 첫째 소수의 충암고 출신, 둘째 근무 인연이 있거나 셋째, 김용현의 인사 혜택을 받은 영관·장성급 장교들을 합친 집단으로 보는 게 맞다. 그래서 나온 말이 ‘용현파’다.”

박 대표는 이어 “결과적으로 ‘용현파’는 윤석열 정권에 급부상한 ‘미니 하나회’였다. 비상계엄 실패 이후 이들 대다수는 조사 및 수사 대상이 됐다”고 적었다.

비상계엄의 뒷 이야기를 파헤친 신간 <용산의 장군들>(메디치미디어)이 10일 출간됐다. 저자인 박 대표는 경향신문 기자로 재직하면서 2001년부터 2022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국방부를 출입했다. 퇴직 후 안보분야 프리랜서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박 대표는 계엄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에 대해 냉정하게 평가했다. 박 대표는 “곽 사령관은 ‘상부의 지시다. 문을 부숴서라도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라고 명령하는 대신 ‘상부의 지시가 있었다’고 전달하는 것으로 통화를 끝냈다”며 “이런 경우 군 간부들은 흔히 ‘설사했다’라는 은어적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지휘관이 사후 있을지 모를 책임 논쟁을 피하기 위해 확실한 지침을 주는 대신 ‘면피성’으로 상부 명령의 전달 통로 역할만 하는 경우다”라고 썼다.

박 대표는 진급을 미끼로 한 충성 경쟁이 과거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적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한다. 지장·덕장·용장보다 ‘운장’이 득세한다는 것이다. 용산의 장군들이 부당한 명령인 계엄령을 왜 거부하지 못했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