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에는 몇개의 빈 공간이 있는데 그중 부비동은 코 옆에 있는 동굴이라는 의미다. 부비동에 종양이 생기는 비부비동 종양 중 양성 종양은 드문 질환으로, 반전성 유두종, 혈관 섬유종, 혈관종, 골종 등이 있다. 이들 양성 종양의 발생 원인은 대부분 알 수 없지만 반전성 유두종은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PV)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글 트렌드지수에 따르면 2023년 반전성 유두종에 대한 관심도가 2020년 대비 약 42% 증가했다. 반전성 유두종은 인구 10만명당 1.5명에서 발생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2~5배 정도 많다. 주로 40~60대에 진단되지만 최근에는 젊은층에게도 발생하고 있고, 흔하지 않은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발생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반전성 유두종은 다른 양성 종양과 다르게 종양 주변 조직으로 국소적 침윤이 일어나 주위의 골조직을 파괴한다. 그리고 종양의 원발 부위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않으면 재발이 잘 되며 다른 종양들과 다르게 빠르게 성장한다. 반전성 유두종을 진단받은 5~15%는 편평 세포암종과 같은 악성 종양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치할 경우 예후가 나쁠 수 있어 빠른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반전성 유두종 환자들은 천천히 진행되는 코막힘을 호소하지만, 종양이 급격하게 증식하는 경우 갑작스러운 코막힘을 겪는다.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이 한쪽에만 생기는 경우가 흔한데 이는 비강의 외측에서 잘 발생하는 종양의 특징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잦은 코피를 호소하거나 농성 비루 또는 분비물이 있어 부비동염 혹은 비염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 반전성 유두종이 심할 경우 종물이 밖으로 튀어나오기도 하고 종양이 비강에 가득 찰 경우 안면통, 안구통 또는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반전성 유두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비강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이다. 만성 비부비동염에 동반된 비용종과 잘 구분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코 전문의 진료를 통해 코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종양에 대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반전성 유두종은 약물치료가 제한적이어서 반드시 수술을 통해 종양의 기원이 되는 부분을 완전히 제거해야 종양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최근에는 내비게이션과 비강내시경을 이용해 안전하고 최소 침습적인 종양 제거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반전성 유두종은 악성 종양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지만 수술적 치료로 좋은 예후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갑자기 코막힘이 있다면 반드시 코 전문의 진료를 통해 코 안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반전성 유두종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받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