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로 더 쉽고 빠르게··· 뇌질환 진단 가능한 지표 찾았다

김태훈 기자


뇌 질환 여부를 진단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체지표를 확인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뇌 질환 여부를 진단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체지표를 확인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주사나 수술로 뇌를 직접 건드리지 않고 혈액검사만으로 뇌종양 등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확인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공학과 문지숙 교수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유사 단백질 1(APLP1)’이 뇌 질환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핵심적인 생체지표임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APLP1을 활용하면 퇴행성 뇌질환 등을 이전보다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포는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세포외 소포체’라는 물질을 분비한다. 연구진은 뇌에서 유래한 세포외 소포체에서 APLP1을 발견하고 뇌에 있는 여러 유형의 세포에서도 동일하게 APLP1이 검출되는지 실험했다. APLP1이 뇌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에서 발견되면 뇌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뇌의 여러 세포에서 APLP1이 검출됐으며 한편으로 혈액에서 분리한 APLP1에서도 뇌 기능 관련 단백체 및 전령 RNA가 확인됐다. 혈액에 APLP1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에 따라 뇌에 질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거꾸로 특정한 뇌 질환이 있을 때 APLP1이 발현되는지도 검증하기 위해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환자의 혈액을 분석하는 과정도 거쳤다. 환자의 혈액 분석 결과, APLP1의 발현 수준이 기존에 활용되던 다른 생체지표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APLP1과 반응하는 항체를 이용하면 뇌에서 유래한 세포외 소포체를 기존의 생체지표보다 더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서 뇌 질환 여부를 판별하기도 더 쉬워졌다.

문지숙 교수는 “APLP1을 활용하면 뇌 질환 등을 조기에 검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비용으로 여러 번 쉽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APLP1을 다른 단백질과 조합하면 치매와 파킨슨병 등 다양한 뇌 질환을 조기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