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우연히 도착한 미래에서, 현재를 보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우연히 도착한 미래에서, 현재를 보다

[금요일의 문장]우연히 도착한 미래에서, 현재를 보다
“물론 이런 생각이 유튜브를 볼 때만 드는 건 아닐 테지만 피할 수 없이 중독돼버리는 쇼츠 영상을 기계적으로 넘기다보면, 그리고 유명인들의 ‘리즈 시절’ 영상을 우연히 클릭하고 거기에 한없이 빠져들게 되면, 여지없이 내가 가보지 못한 미래의 어느 한 시점을 앞서 경험하고 있는 듯한 착각이 일곤 했다.” <봄이 오면 녹는>(다람)

수록작 ‘시간여행자’(전하영)는 시간의 의미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작품이다. 소설 속 화자는 유명인들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한 쇼츠 영상을 보며 “우연히 도착한 이 미래 세계에서는 과거가 끊임없이 소환되어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또 “사실 나는 미래의 어느 한 시절을 살아가고 있다고 느낄 때가 가끔 있다. 나이가 들수록 그 느낌은 더 설득력을 얻고 현실적인 감각으로 다가온다”라고도 한다.

‘미래의 어느 한 시절을 살아간다’는 감각은 무엇일까? 영화감독을 꿈꾸던 시절, 열정적으로 영화를 섭렵하던 자신을 회상한다. 그는 우연히 과거 영화계에서 촉망받던 친구와 재회하지만, 한때 재능으로 여겨졌던 그의 자질이 그저 이기심과 허영에 불과했다는 사실도 알게 된다. 작품은 시간이 만든 간극과 그로 인해 우리의 시선과 감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담아낸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