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주미대사 “트럼프 행정부와 북 비핵화 목표 공동 견지할 것”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주미대사 “트럼프 행정부와 북 비핵화 목표 공동 견지할 것”

조현동 주미대사가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국문화원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있다. 워싱턴/김유진특파원

조현동 주미대사가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국문화원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있다. 워싱턴/김유진특파원

조현동 주미대사는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대북정책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북한 비핵화 목표를 공동으로 견지해 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대사는 이날 워싱턴특파원 간담회에서 트럼프 2기 외교안보라인 주요 인사들과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그들은 북한, 북핵 문제를 둘러싼 환경이 트럼프 1기 때와 상당히 달라졌다는 측면을 잘 이해하고 있고, 한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희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한·미 간 북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는 가운데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으로 복잡하게 얽힌 셈법을 풀기 위해 대북정책 조율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간 한미가 함께 발전시켜 온 핵·재래식 전력 통합적 확장억제를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계속 견고히 갖춰 나가며 한미일 협력 기조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자가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국)’으로 지칭하면서 미국이 북한 비핵화 원칙에서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다. 이와 관련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뉴클리어 파워’ 언급이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표현이 북한이 일정 수준 핵 능력을 갖고 있다는 현실을 거론한 것이며, 미국 내에는 북한 핵 용인시 주변국 확산 효과를 우려해 비핵화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있는 것으로 정부는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한국의 계엄 이후 정국에 대해서는 트럼프 측 인사들도 상황을 조심스럽게 주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직까지 트럼프 대통령이나 행정부 인사들은 한국 상황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과 최상목 권한대행 간 전화통화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대사는 경제 분야 협력과 관련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보인 조선 분야 협력, 투자 확대, 인공지능(AI), 퀀텀(양자 컴퓨팅), 민간 원자력 분야 등 협력에 대해 미국의 신행정부와 구체적으로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통상 의제인 미국 무역수지 적자 축소와 관련해서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