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문재인 정부 블랙리스트’ 조명균 전 장관 1심 무죄···“증거 없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문재인 정부 블랙리스트’ 조명균 전 장관 1심 무죄···“증거 없어”

입력 2025.01.24 16:18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이 2018년 7월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개최된 남북통일농구경기에서 답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이 2018년 7월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개최된 남북통일농구경기에서 답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임기가 남은 공공기관장들을 부당하게 사퇴시켰다는, 이른바 ‘블랙리스트 의혹’ 사건으로 기소된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9부(재판장 김중남)는 24일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기소된 조 전 장관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조 전 장관은 2017년 7~8월 임기가 1년가량 남아 있던 손광주 전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현 남북산하재단) 이사장에게 사퇴를 종용한 혐의로 기소됐다.

재판부는 “조 전 장관이 이 사건 재단 교체방침을 정하고 실행에 옮기기 위해 2017년 7월 천해성 당시 통일부 차관에게 손 이사장에 대한 사표 청구를 지시했는지가 분명하지 않다”며 “검찰이 제출한 증거만으론 합리적 의심의 여지 없이 (조 전 장관의 혐의가)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조 전 장관이 직접 또는 통일부 소속 공무원에게 사표 청구를 요구했다고 하더라도 이는 통일부 장관의 권한 범위에 있지 않아 직권남용 대상이 되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직권남용죄가 성립하려면 직무 권한이 인정되는 공무원이 그 권한을 남용해야 하는데, 통일부 장관에게 재단 이사장을 임의로 해임하거나 임기를 단축시킬 권한이 애초에 없었기 때문에 직권남용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논리다.

이번 선고가 다른 관련 사건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현재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조현옥 전 대통령비서실 인사수석 등도 ‘블랙리스트 의혹’ 사건으로 재판을 받고 있다. 백 전 장관 측은 “문재인 정부 당시 전 정권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에게 사직을 강요할 권한이 백 전 장관에게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