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평년보다 따뜻한 겨울···‘금사과·금배’ 우려 키우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평년보다 따뜻한 겨울···‘금사과·금배’ 우려 키우나

입력 2025.01.29 20:03

지난해 4월2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시장에서 한 시민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못난이 사과’를 구매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지난해 4월2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시장에서 한 시민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못난이 사과’를 구매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올겨울 평년보다 높은 기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면서 사과와 배 등 과일 수급에 미칠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포근한 날씨 탓에 과일나무가 일찍 개화하면 봄철 꽃샘추위가 찾아왔을 때 저온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26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2~3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1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이고, 높을 확률과 낮을 확률이 각각 30%와 20%다. 2월은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0%이고 비슷할 확률과 낮을 확률이 각각 30%와 20%로 나타났다. 3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60%다. 지난해 12월엔 월평균 기온이 1.8도로 평년(1.1도) 대비 0.7도 높았다.

비교적 따뜻한 겨울 탓에 과일나무의 꽃 피는 시기가 수일에서 수주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사과와 배 등의 꽃은 통상 4월이면 만개하는데, 3월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개화기가 더 앞당겨질 수 있다. 이른 시기에 꽃이 핀 뒤 3월 말이나 4월 초 영하권 꽃샘추위가 오면 냉해와 서리 등과 같은 저온피해를 입게 된다.

개화기 저온피해는 사과와 배의 꽃이 피어있는 시간을 줄어들게 만들어 착과(열매가 달리는 것)를 저하시키고, 과수화상병 발생 위험을 높이게 된다. 과수화상병은 사과나 배 나무의 꽃과 잎이 화상을 입은 듯 검게 말라 죽는 세균성 검역병이다. 전염성이 강하고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과수 구제역’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023년은 저온피해 영향으로 사과와 배의 수급에 큰 차질이 빚어졌던 해다. 당시 3월 이상고온으로 꽃이 평년(4월11∼27일)보다 최대 보름 정도 이른 3월 말에 개화했다. 이후 저온과 서리로 꽃눈이 고사하면서 수확량이 크게 줄었다. 통상 개화기 사과나 배의 꽃눈은 영하 1.7도 이하에서 얼어버린다. 농작물재해보험 데이터 분석 결과 당시 봄철 저온피해로 사과와 배 착과 수량이 전년보다 각각 16.5%와 31.8% 감소했다.

이후엔 과수화상병과 탄저병 등이 겹쳤고, 그해 사과 생산량은 39만4000t으로 전년보다 30.3% 감소했다. 배 생산은 18만4000t으로 26.8% 줄었다. 생산량 감소 여파로 사과와 배 가격이 크게 올라 지난해 여름철 수확기까지 ‘금사과’ ‘금배’ 사태가 이어졌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과수 개화기가 빨라지면 꽃눈 저온피해 우려가 커질 수 있는 만큼 매년 저온피해가 반복되는 지역의 농가에서는 이맘 때 미리 관련 시설 점검을 마쳐야 한다”며 “사과 재배 농가에서는 ‘후지’보다 개화가 늦은 ‘피크닉’ 등과 같은 품종을 재배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