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작년 물가급등 ‘톱10’ 중 9개가 과일 등 먹거리…이상기후 탓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작년 물가급등 ‘톱10’ 중 9개가 과일 등 먹거리…이상기후 탓

입력 2025.01.30 13:40

설 명절을 앞둔 지난 23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 과일가게 앞에 명절 선물세트가 준비되어 있다. 연합뉴스

설 명절을 앞둔 지난 23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 과일가게 앞에 명절 선물세트가 준비되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물가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중 9개가 과일·채소 등 먹거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는 1년 사이 가격이 70% 넘게 올랐다. 이상기후로 인한 작황부진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3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조사 품목 458개 중 전년 대비 물가 상승폭이 가장 큰 품목은 배로 나타났다. 배는 2023년도 재고량 부족과 폭우·폭염으로 인해 출하량 감소가 겹쳐 가격이 1년 전보다 71.9% 급등했다.

귤도 하반기 작황 부진 등과 사과·배 가격 급등에 따라 대체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전년대비 46.2% 올랐다. 감(36.6%), 사과(30.2%)도 폭염·호우 영향으로 물가가 크게 올랐다.

배추(25.0%), 무(24.5%), 김(21.8%), 토마토(21.0%), 당근(20.9%) 등도 물가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에 포함됐다. 상위 품목 10개 중 9개가 과일·채소 등 먹거리인 셈이다.

먹거리 외 유일한 품목은 컴퓨터 수리비로 전년대비 30.1% 올라 5위를 차지했다. 전자부품 등 재료비 가격과 인건비가 오른 영향이다.

물가가 가장 많이 하락한 품목은 전기밥솥이었다. 세일 행사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가격이 10.6% 하락했다.

망고 역시 할당 관세 영향으로 수입량이 늘면서 가격이 10.4% 하락했다. 생강(-9.2%), 감자(-8.5%), 굴(-7.9%)도 생산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큰 폭으로 내렸다.

지난 10년간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짜장면’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조사결과를 보면, 외국 메뉴 7개 품목의 평균 가격은 2014년 12월 대비 40.2% 올랐다.

이중 짜장면은 10년 새 4500원에서 7423원으로 65.0% 올랐다. 주재료 가격이 크게 오른 영향이다.

냉면은 같은 기간 80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50.0% 올랐고, 김치찌개백반(8269원)과 칼국수(9385원)도 각각 44.4%씩 올랐다. 김밥은 3200원에서 3500원으로 9.4% 올라 그나마 상승폭이 작았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