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전기차·공장화재 ‘해결사’ 무인파괴방수차, 연말까지 6대 추가 배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전기차·공장화재 ‘해결사’ 무인파괴방수차, 연말까지 6대 추가 배치

입력 2025.02.02 12:00

지난 11월20일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LH아파트 주차장에서 열린 레디코리아 훈련에서 소방관들이 무인파괴방수차를 이용해 차량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주영재 기자

지난 11월20일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LH아파트 주차장에서 열린 레디코리아 훈련에서 소방관들이 무인파괴방수차를 이용해 차량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주영재 기자

전기차 배터리 화재와 샌드위치 패널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무인파괴방수차가 추가 배치된다.

소방청은 대구·광주·강원·충북·충남·전북 등 6개 시도에 무인파괴방수차 6대를 연말까지 추가 배치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배치가 마무리되면 전국에 배치된 무인파괴방수차는 총 32대가 된다.

무인파괴방수차는 원격 조종이 가능한 소방장비로, 최대 20m 높이와 반경 10m 범위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굴절형 팔 끝에 물이 뿜어져 나오는 방수구와 파괴장치가 장착된다.

파괴장치는 4㎜ 두께의 철판과 160㎜ 두께의 콘크리트 블록을 파괴할 수 있어 건물 벽 등을 뚫고 내부에 진입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대형 물류센터와 샌드위치 패널 등 건축물 규모가 크고 구조가 복잡한 곳에서 불이 났을 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특히 원거리 주수와 차량 내부 주수를 통해 고온, 유독가스, 폭발 위험이 있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번 무인파괴방수차 추가 배치에는 샌드위치 패널 화재 대응 역량을 키우려는 목적도 있다. 최근 5년간(2019~2023) 1만6067건의 샌드위치 패널 화재로 1012명의 인명피해(사망 98명)와 1조3200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샌드위치 패널 구조 건축물은 화재 시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해 소방관 진입이 쉽지 않고,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소방청은 무인파괴방수차 배치로 화재 진압 속도 향상, 소방관 안전 확보, 다양한 유형의 화재에 대한 효율적 대응 등 여러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무인파괴방수차 추가 배치로 지역 간 소방력 격차를 해소하고 국민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첨단 장비 도입과 실질적 대책 마련을 통해 현장대응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