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반도체 중심 2.5% 급락
환율, 장중 1470원대 뛰기도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도 폭락

트럼프 관세에 출렁인 하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 등 주요국을 대상으로 관세 정책을 강행한 여파로 국내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린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트럼프발 관세전쟁에 대한 뉴스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3.42포인트(2.52%) 내린 2453.95로 장을 마감했다. 한수빈 기자 subinhann@kyunghyang.com
국내외 금융시장이 3일 미국발 ‘관세전쟁’의 직격탄을 맞았다.
당장 관세 부과의 영향권에 드는 2차전지·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주가가 추락하며 코스피는 2.5% 넘게 급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70원대까지 뛰어올랐다. 당분간 시장이 받는 충격은 관세 조치 강도에 비례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63.42포인트(2.52%) 급락한 2453.95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엔 3.16% 하락한 2437.61까지 주저앉기도 했다. 코스닥도 24.49포인트(3.36%) 떨어진 703.80에 마쳤다.
가상자산도 폭락했다. 가상자산 시황 업체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서 비트코인은 이날 오후 3시48분 기준 하루 전보다 6.21% 급락해 9만4175.23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19.33%), 리플(-20.91%) 등도 일제히 곤두박질쳤다.
반면 안전자산인 달러는 강세를 보였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4.5원 오른 1467.2원에 주간거래를 마쳤다. 장중 1472.5원까지 상승하며 약 한 달 만에 1470원 선을 넘기기도 했다. 국내 금 가격(KRX금시장 기준)도 3.6% 오른 g당 13만8000원에 마감하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것은 지난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에 착수해 ‘무역전쟁’ 리스크가 현실화하면서다.
취임 2주 만에 동맹국을 상대로 고강도 관세 조치를 내놓자 그의 관세 정책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 등 모든 공약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금융시장을 덮쳤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각각 4.17%, 2.67% 하락했다. 멕시코에 생산공장을 둔 기아(-5.78%), LG전자(-7.13%), IRA 폐지 시 타격을 받는 2차전지주들도 대폭 내렸다.
김용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일본·한국 등 미국의 6대 수입국에 대한 관세·통상 압박은 올 2분기 중 전면화될 공산이 크다”며 “상반기 코스피의 박스권 등락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한편, 딥시크 여진이 가시기도 전 관세전쟁 공포까지 덮치면서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52.40포인트(2.66%) 떨어진 3만8520.99포인트로 마감했다. 특히 대만 증시는 아시아 국가 중 낙폭이 가장 컸다. 대만 자취안 지수는 이날 오전 한때 5% 넘게 떨어졌다가 전 거래일보다 3.53% 하락 마감했다.
또한 미국이 유럽연합(EU)에도 곧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에 유로스톡스50 선물지수는 이날 오후 2.68%, 독일 DAX 선물지수는 2.4% 하락세를 보였다.관세 직격탄을 맞는 캐나다달러 가치는 장중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미 달러당 1.4735캐나다달러)으로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