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메모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은 4일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군 국회 철수 지시 시점에 대해 “(오전) 2시50분에서 3시 사이”라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이 “국회 계엄 해제 요구 결의가 나오자마자 곧바로 (김용현 전) 장관과 (박안수) 계엄사령관을 즉시 불러 철수를 지시했다”고 말한 것과 배치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 전 총장은 이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서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정확히 철수 (지시) 시간은 언제였나”라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박 전 총장은 윤 대통령의 호출 시점에 대해 “(계엄해제 의결) 직후는 아니고 장관님이 이제 무슨 회의인지 뭔지 모르겠는데 참가하자고 그래서, 따라가자고 그래서 간 적이 있다”고 말했다. 부 의원이 대통령방으로 간 시간을 묻자 “시간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2시40분에서 50분 그사이”라며 “지시를 따로 하지 않고 올라갔는데 옆방에 문이 있는데 거기 들어가라고 하셨다. 들어가니까 여러 분이 앉아 계셨고 조금 있으니까 다시 들어오라고 해서 들어갔는데 ‘철수시켜라’ 이렇게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당시 박 전 총장이 간 방에는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이 있었다고 했다.
부 의원은 “(철수 시점이) 새벽 3시인가”라며 “지난달 23일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 소 변론 기일날 계엄 해제 요구 결의가 나오자마자라고 했는데 그러면 (오전) 1시다. 계엄사령관 말씀과 다르다. 한 2시간 텀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4차 변론에서 “국회가 계엄 해제 요구를 아주 신속히 한 것도 있고, 저 역시도 계엄 해제 요구 결의가 나오자마자 곧바로 (김용현 전) 장관과 (박안수) 계엄사령관을 즉시 불러 철수를 지시했다”고 말했다. 국회가 지난해 12월4일 본회의를 열고 계엄해제 결의안을 표결에 부쳐 가결한 시점은 오전 1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