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년 동안 5개 분야 수여 하던 시민대상, 올해부터 1명만···광주시 방침 ‘갸우뚱’

고귀한 기자
광주광역시 청사. 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 청사. 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올해부터 ‘시민대상’ 수상자를 기존 5명에서 1명으로 축소한다. 나눔과 기부 등에 이바지한 시민에게 헌액해 오던 ‘명예의전당’은 시민대상으로 통합한다.

수상자를 줄여 시민대상의 영예와 권위를 드높이겠다는 것인데, 공론화 과정이 부족했다는 지적과 함께 자칫 ‘지역에 상을 줄 사람이 부족하기 때문이 아니냐’는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광주시는 3일 “올해부터는 분야별 시민대상과 명예의 전당 헌액자를 하나로 통합해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히 수상자는 기존 시민대상 5명·명예의 전당 1명 등 매년 6명에서 1명만 선정할 방침이다.

시민대상은 시의 명예선양과 발전에 공적이 있는 시민에게 수여해 오던 상이다. 1987년부터 매년 사회봉사와 학술, 문화예술, 체육, 지역경제진흥 등 5개 분야의 5명을 선정해왔다. 현재까지 169명의 시민이 영예를 안았다.

명예의 전당은 시정 발전과 나눔과 기부 등에 기여한 공이 큰 시민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확산하기 위해 2021년부터 1명을 선정해 인증서를 수여하고 있는 상이다. 인증서 받은 시민은 모두 6명이다. 이들은 시청사 1층에 설치된 명예의 전당에 현판이 등재돼 있다.

시는 시민대상 통합이 ‘품격과 권위를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신청 자체가 저조한 데다 이 마저도 자원봉사 분야에만 70~80%가 몰려 있다는 것이다. 또 명예의전당은 시민대상 선정 요건과 중복된다.

시는 이 방침을 지난해 초 확정했다. 2023년 8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시의회, 언론, 시민사회 관계자 등 6명으로 전담조직(TF)을 꾸렸고, TF와 시 관계 부서는 지역 50여개 단체·기관 등을 상대로 의견을 수렴해 이같은 방침을 정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지난 한 해는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고 건너뛰었다. 이 조례는 현재 시의회 상임위에서 검토 중이다.

시민사회는 의견 수렴 등 공론화 과정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마땅한 신청자가 없으면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아도 되고 참여율 저조는 홍보를 강화하면 해결될 문제인데 수상 분야를 통합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였다는 것이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실제 한 학술계 관계자는 “처음 듣는 이야기다. 분야를 없애고 수상자를 축소한다는데 반기는 시민이 어디있겠느냐”고 말했다.

자칫 ‘상을 받을 사람이 없다’는 식으로 지역 인적 자원의 한계처럼 비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전국 광역시도와 시군구는 광주시와 마찬가지로 시민대상을 조례로 제정해 운영 중이다. 적게는 3명에서 많게는 10여명까지 매년 시상을 하고 있지만 광주처럼 수상자 규모를 축소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도입 목적에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재만 참여자치21 공동대표는 “시민대상은 각 분야의 공로를 치하하고 사회 전체로 분위기를 확산한다는 취지인데 어떻게 뭉뚱그려 1명만 선정하겠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며 “사회가 복잡·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축소가 아닌 분야 세분화 등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시민대상 조례에는 공동 수상이나 특별 사항이 적혀있지 않아 분야 외 시민은 신청을 하고 싶어도 요건에 맞지 않아 못하는 사례가 있었다”며 “수상자는 줄더라도 더 다양한 시민들의 참여가 이뤄져 시민대상이 품격과 권위를 찾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Today`s HOT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산불이 일어난 후 쑥대밭이 된 미 오클라호마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가자지구에서 이프타르를 준비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최소 6명 사망, 온두라스 로탄에 비행기 추락 사건 220명 사망, 휴전 협상 교착 상태서 공습 당한 가자지구 케냐를 국빈 방문한 네덜란드 국왕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