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의 보고’ 서산·무안·고흥·여수 갯벌, 세계유산 도전

이영경 기자
고흥 갯벌.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제공

고흥 갯벌.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제공

생태계의 보고이자 철새 서식지로 평가받는 충남 서산갯벌과 전남 무안·고흥·여수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추가 등재에 도전한다.

국가유산청은 지난달 ‘한국의 갯벌 2단계’(영문 명칭 ‘Getbol, Korean Tidal Flats(PhaseⅡ)’)와 관련한 세계유산 확대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의 갯벌은 멸종위기종 철새를 비롯해 생물 2천여 종이 살아가는 공간이자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자연유산이다.

2021년 서천갯벌(충남), 고창갯벌(전북), 신안갯벌(전남), 보성·순천갯벌(전남)이 동아시아∼대양주를 잇는 철새 이동 경로의 중간 기착지이자 대체 불가능한 철새 서식지 보전에 기여하는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국가유산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보호하고 강화하고자 대상 갯벌을 추가하는 확대 등재를 준비해왔다.

앞서 2018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상류동굴군을 추가해 유산 구역을 늘린 적은 있으나, 새로운 유산 요소를 추가한 적은 없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확대 등재로는 국내 첫 사례”라며 “전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많지 않은 데다 2단계 개념도 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확대 등재에 도전하는 갯벌은 충남 서산과 전남 무안·고흥·여수 갯벌이다. 국가유산청은 “기존 1단계에 포함된 서천 갯벌과 고창 갯벌, 보성·순천 갯벌은 물새의 이동 범위와 서식 공간을 충분히 포괄하도록 완충 구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유산 확대 신청은 오는 3월부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평가를 받은 뒤, 심의 대상에 오르면 2026년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세계유산은 1972년 채택된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심사해 결정한다. 문화유산, 자연유산과 두 유산 성격을 모두 지닌 복합유산으로 나뉜다. 우리나라는 1995년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를 처음 등재한 이후 현재까지 총 16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