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기업에서 총 465조원 규모
인공지능(AI) 업계를 강타한 딥시크 충격에도 미국거대 기술기업들은 올해 AI에 막대한 투자를 예고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모회사 알파벳, 메타가 밝힌 올해 자본 지출 예정 규모는 총 3200억달러(약 465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총자본 지출액보다 30% 증가한 수준이다. 이 비용은 대부분 데이터센터로 대표되는 AI 인프라 구축에 사용된다.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1위인 아마존은 올해 자본 지출이 1000억달러를 초과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800억달러, 알파벳은 750억달러, 메타는 65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일부 투자자들은 AI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값비싼 도박’으로 변질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중국 딥시크가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을 이용해 빅테크 모델에 필적하는 성능의 AI 모델을 개발하면서 대규모 투자에 대한 의문이 커졌다.
최근 스탠퍼드대·워싱턴대 연구진은 고성능 추론 모델 ‘s1’을 공개했다. 연구진은 이 모델을 엔비디아 H100 그래픽처리장치(GPU) 16개를 이용해 단 26분 만에 훈련했다고 밝혔다. IT 매체 테크크런치는 “훈련에 사용된 클라우드 컴퓨팅 비용이 50달러 미만”이라고 전했다. 연구진은 시중에 나와 있는 알리바바의 오픈소스 AI 모델을 기반으로 ‘증류’ 기법을 활용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다만 테크크런치는 “증류는 저비용으로 복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현재 사용 가능한 모델보다 훨씬 더 뛰어난 새로운 AI 모델을 만들어내는 기술은 아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