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타깃+보편 관세 부과 땐 한국 수출 19조원 줄어들 듯

김경학 기자

한국무역협회 분석 결과

대미·대멕시코 대폭 감소

반사이익보다 타격 더 커

미국이 중국·캐나다·멕시코에 대한 타깃 관세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 10%의 보편 관세도 부과하면 한국 수출은 132억달러(약 19조2000억원)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9일 이 같은 내용의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3가지 시나리오로 분석했다. 시나리오 ①은 중국에만 10%포인트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시나리오 ②는 중국 10%포인트 추가 관세에 더해 유예한 캐나다·멕시코에 25%를 부과할 경우(캐나다산 에너지는 10%), 시나리오 ③은 중국 10%포인트 추가와 캐나다·멕시코 25% 부과뿐 아니라 모든 국가에 10% 보편 관세도 부과할 경우다.

시나리오 ①의 경우 대중국 수출은 8억1000만달러 감소하지만, 대미 수출은 4억달러 증가해 한국의 총수출은 4억1000만달러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은 지난해보다 0.31%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나리오 ②는 시나리오 ①보다 수출 감소 폭이 작았다. 시나리오 ②에서 한국 수출 감소 폭은 2억2000만달러 규모였다. 보고서는 “시나리오 ②가 시행되면 한국의 대중국(-6억8000만달러)·대캐나다(-2억6000만달러)·대멕시코(-12억4000만달러) 수출은 줄지만 반사이익으로 대미 수출이 19억6000만달러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시나리오 ③일 때 수출 감소 폭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의 대미(-100억3000만달러)와 대멕시코(-15억7000만달러)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해 총수출은 132억4000만달러가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반사이익보다 보편 관세에 따른 직접적인 감소 영향이 더 크다”고 밝혔다.

다만 시나리오 ③일 때도 한국의 대미 수출 감소 폭(-7.85%)은 다른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시나리오 ③의 경우, 미국의 수입 상위 30개국 중 칠레(-2.26%)가 가장 감소 폭이 작았다. 이어 호주(-7.04%), 일본(-7.32%), 한국 순이었다.


Today`s HOT
전사자들을 잊지 않고 추모하는 시민들 최소 37명 사망.. 토네이도로 인한 미시시피주 모습 화창한 날, 멕시코 해바라기 밭에서의 사람들 로스앤젤레스 항구 그랑프리에 참가한 각국 팀들
나폴리서 규모 4.4 지진, 새벽부터 놀란 시민들 뉴욕 슈퍼 웰터급 복싱 경기 우승자, 칼럼 월시
갑작스런 토네이도로 아수라장된 피코 리베라 영국에서 열린 '성 패트릭 데이'
기차를 끌어 기네스 인증 받은 레슬링 선수 마흐루스 이스라엘 유대인들을 위한 명절, '푸림' 마이애미 비치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월식 전의 보름달, 관람하고자 모인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