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은 덜했지만 ‘찝찝한 관세’···환율 상승, 증시는 ‘롤러코스터’

김경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시저스 슈퍼돔에서 미식축구 결승전 경기가 시작되기 전 경기장에 들어오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시저스 슈퍼돔에서 미식축구 결승전 경기가 시작되기 전 경기장에 들어오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 소식에 10일 금융시장은 또다시 출렁였다. 철강주가 일제히 하락했고, 안전자산인 금과 달러는 강세를 보였다. 다만 관세 이슈가 반복적으로 불거지면서 장 초반 흔들렸던 아시아 증시는 장중에는 크게 반응하지 않으며 낙폭을 회복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0.65포인트(0.03%) 내린 2521.27에 장을 마쳤다. 오전 한때 2500선을 내줬지만 오후 들어 상승 전환하는 등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하락 출발했던 코스닥지수와 일본 닛케이225지수도 반등에 성공해 각각 0.91%, 0.04% 상승마감했다.

예상보다 충격은 덜했지만 관세로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 포스코홀딩스(-0.84%), 현대제철(-2.03%), 세아베스틸지주(-3.66%) 등 국내 철강주와 미국 US스틸 인수를 타진한 일본제철(-0.54%) 등이 약세를 보였다. 포스코홀딩스는 장중 4.81% 급락하기도 했다. 비트코인의 글로벌 가격도 장중 9만5000달러를 밑돌았다.

다만 관세안이 예고됐던 만큼 가격에 ‘선반영’된데다, 관세에 따른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나스닥 선물지수가 상승전환 하는 등 빠르게 회복했다.

안전자산인 달러와 금은 줄곧 강세를 보였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3.4원 오른 달러당 1451.2원에 주간거래를 마치며 4거래일 만에 주간종가가 1450원선을 넘어섰다. 달러당 위안화는 3주만에 7.3위안을 넘기며 약세를 보였고, 인도 루피화·캐나다 달러·호주달러 등 세계 통화도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다.

금 선물(4월분)은 장중 온스 당 2900달러를 넘겼고, 국내 금 가격(한국거래소 기준)은 상승폭을 확대, 이날에만 4.95% 오르며 g당 15만2800원으로 역대 최고 종가를 기록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 간 관세 협상이 타결될지 여부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내용이 관세 리스크 증폭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Today`s HOT
산업단지 프로젝트 기념식 위해 베트남 방문한 싱가포르 총리 역사적으로 중요한 날, 방글라데시 독립기념일 베네수엘라 이민자 지지 시위 6년 전 월마트에서 일어난 총기 난사, 예방이 절실..
저먼윙스 비행기 추락 10년, 추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 꽃이 피고 화창한 날이 온 미국과 영국의 어느 도시
캘리포니아주에서 열린 다저스 팀의 야구 훈련 프랑스에서 벌어진 노동조합의 임금 문제 요구 시위
계속되는 달러와 연료 부족, 거리로 나선 목장주와 사업가들 눈보라와 많은 비를 뚫고 지나가는 사람들 계속되는 남동부 지역 산불, 대응에 보강 필요.. 칠레에도 피해주는 산불, 힘을 모아 진화하는 소방관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