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계파 갈등 의식 ‘포용·확장’ 강조…친명 일부는 비판
문재인 전 대통령이 윤석열 정부 탄생을 막지 못한 데 대해 사과한 인터뷰가 10일 공개되자 더불어민주당에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깊은 성찰”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최근 불거진 친이재명(친명)계와 비이재명(비명)계의 신경전이 종식되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한겨레 인터뷰에서 “총체적으로 윤석열 정부를 탄생시킨 데 대해선 국민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특히 과거 윤석열 대통령을 검찰총장으로 임명한 데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탄생하게 된 가장 단초가 된 것이라 후회가 된다”며 자신을 포함해 문재인 정부에 몸담았던 인사들도 책임을 벗어날 수 없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가 추천한 후보가 4명이었는데 윤석열 후보자만 말하자면 검찰개혁에 대해 지지하는 그런 이야기를 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이번 탄핵, 계엄 사태가 생기고 나니까 정말로 자괴감이 이루 말할 수가 없고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을 정도로 국민에 송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정권 탈환을 “역사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당내 계파 갈등을 의식한 듯 “민주당이 이기려면 조금 더 포용하고 확장해야 한다”면서 “경쟁을 자꾸 분열로 비판하며 밀쳐내는 건 민주당을 협소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어 “지금 민주당엔 이재명 대표의 경쟁자가 없다”며 “그럴수록 확장해야 한다. 이런 이야기를 이 대표에게도 했고 이 대표도 나와 생각이 같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에선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이날 CBS 라디오에서 “이 대표가 앞서 나가고 있지만 거기에 안주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박용진 전 의원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민주당이 통합과 확장을 해야 이긴다는 시의적절한 말씀에 감사하다”고 밝혔다.
다만 노무현 전 대통령 청와대 출신인 천호선 전 정의당 대표는 이날 SNS에서 “국민에 대한 사과는 인터뷰에 끼워 넣을 것이 아니라 별도의 형식과 내용을 제대로 갖춰야 했다”고 했다. 한 친명계 의원도 “‘내 새끼 잘 챙겨달라’는 의미로 들린다”고 비판했다.
수도권 한 친명계 의원은 “문 전 대통령이 인터뷰에서 ‘민주당 다수가 윤석열 임명에 찬성하는 분위기였다’ ‘대통령의 해임 권한이 없었다’ 등 당시 제약 상황에 관해 설명했는데 평소 방어적인 모습이 그대로 보였다”며 “비상계엄 사태 전에 의견을 냈어야 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친명계 재선 의원은 “왜 지금까지 조용히 있다가 이 지경이 돼서야 미안하다고 하는가”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