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선 강조·당근 제시·보복 시사…각국 분주한 움직임

김서영 기자

호주 “미국이 무역흑자” 호소

인도, 미 제품 추가 구입 고려

EU, 반발 성명 내고 대응 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각국이 우호 관계 강조와 유화책 제시, 압박 등 대응에 나섰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한 후 기자회견을 열어 “관세를 면세해 달라고 요청했다. ‘미국이 면제를 고려 중’이라고 공개하기로 합의됐다”고 밝혔다. 곧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인정하며 “그 이유는 호주가 (미국산) 비행기를 많이 사기 때문이다. 이 점을 크게 고려하겠다고 앨버니지 총리에게 말했다”고 밝혔다.

앨버니지 총리는 미국이 호주를 상대로 무역흑자를 보고 있음을 강조하는 전략을 폈다.

그는 “미국은 해리 S 트루먼 행정부(1945∼1953년) 이후 호주 상대로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다”며 미국의 호주 상대 수출이 수입의 약 2배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호주는 트럼프 1기에도 미국과 협상해 철강·알루미늄 관세 면제를 얻어냈다.

인도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12일부터 이틀간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협상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는 인도 정부 관계자 3명의 말을 인용해 인도가 전자제품, 의료장비, 화학제품 등 최소 12개 부문에서 관세 인하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 관계자는 모디 총리의 방미 목적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벌어지는 것과 같은 무역전쟁을 피하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인도는 미국에 ‘당근’을 제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2023~2024 회계연도에 인도는 미국을 상대로 320억달러(약 46조5000억원)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이를 비난한 적이 있으며, 지난달 모디 총리와 통화할 때도 “미국산 방산 장비를 더 많이 구매하라”고 요구했다. 인도가 미국산 위성안테나, 목재 펄프 등을 추가 구입하는 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유럽연합(EU)은 보복을 시사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성명을 내 “EU 수출 상품에 관세를 부과할 만한 근거는 없다고 본다. 부당한 조처로부터 유럽 내 기업과 소비자, 노동자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장 노엘 바로 프랑스 외교장관은 이날 TF1 인터뷰에서 “우리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주저하지 않고 움직일 것이다.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이런 조처를 했고, 우리는 여기에 대응했다. 이번에도 우리는 대응하겠다”고 했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