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통화 “종전 협상 즉시 개시”…‘거래외교’ 막 올라

워싱턴 | 김유진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DNI) 임명장 수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DNI) 임명장 수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3주년(2월24일)을 앞두고 미국이 전쟁 종전을 위한 협상 중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고 미·러 양측 협상팀이 종전 협상에 조만간 착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곧이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도 통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직접 대화를 통한 ‘거래 외교’에 시동을 건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해법의 향배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 사실을 발표하면서 “우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백만명의 죽음을 멈추기를 원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푸틴과 상호 방문을 포함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면서 “우리는 양측 협상팀이 즉시 협상을 시작하는 것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미국 측 협상팀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존 랫클리프 중앙정보국(CIA) 국장,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로 구성된다고도 밝혔다.

이후 백악관에서 열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DNI) 임명장 수여식에서도 그는 “푸틴, 젤렌스키, 나 모두 평화를 원한다”면서 “너무 멀지 않은 미래에 휴전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첫 회동을 가질 것이라고도 밝혔다.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 이후에 젤렌스키 대통령과도 통화한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도 푸틴처럼 평화를 이루려고 한다. 이 어리석은 전쟁을 멈출 때가 됐다”고 밝혔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도 통화 사실을 확인했다. 크렘린궁은 두 정상이 약 90분간 통화했고,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모스크바로 초청했다고 밝혔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3일 브리핑에서 러시아가 미국과 협상에 나설 대표단 구성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약 1시간 통화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는 평화를 달성할 기회에 대해 오랫동안 이야기했다”면서 “러시아의 침략을 막고 지속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다음 단계를 구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듯이 ‘해냅시다’”라고 밝혔다.

미·러 정상 간 통화는 양국 간 수감자 맞교환이 성사돼 러시아에 3년여 억류됐던 미국인 마크 포겔이 풀려난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양국 정상의 ‘톱다운’ 담판이 가시화하면서 종전 협상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14일 독일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하는 J D 밴스 미 부통령과 루비오 국무장관도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나 구체적인 평화협상 로드맵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난 뒤 “핵심 광물 거래는 평화 협정의 일부”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영토 회복이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가입 문제에 대해 “현실적이지 않다”고 일축하면서 협상이 시작 전부터 러시아 쪽에 기울어진 채로 전개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자국 영토를 2014년 이전(러시아의 크름반도 강제병합)으로 회복하는 문제에 대해선 “확실히 그럴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많은 땅을 차지했고 많은 군인들을 잃었다”면서 “일부 땅은 (우크라이나에)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종전 협상 과정에서 우크라이나가 영토를 완전히 수복할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문제에 대해서도 “그것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새 국방장관도 그것이 불가능하며 현실적이지 않다고 말했는데 아마도 그것이 사실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을 방문 중인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방위 연락그룹(UDCG) 회의에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이나 우크라이나 국경을 2014년 이전으로 되돌리는 것은 현실적인 목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Today`s HOT
케냐를 국빈 방문한 네덜란드 국왕 220명 사망, 휴전 협상 교착 상태서 공습 당한 가자지구 최소 6명 사망, 온두라스 로탄에 비행기 추락 사건 가자지구에서 이프타르를 준비하는 사람들
영국에서 열린 '성 패트릭 데이' 산불이 일어난 후 쑥대밭이 된 미 오클라호마
뉴욕 슈퍼 웰터급 복싱 경기 우승자, 칼럼 월시 북마케도니아 클럽 화재, 추모하는 사람들
로스앤젤레스 항구 그랑프리에 참가한 각국 팀들 화창한 날, 멕시코 해바라기 밭에서의 사람들 최소 37명 사망.. 토네이도로 인한 미시시피주 모습 전사자들을 잊지 않고 추모하는 시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