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KT 작년 매출 ‘상장 이후 최대’···“다양한 요금제 및 5G 가입자 증가 영향”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KT 작년 매출 ‘상장 이후 최대’···“다양한 요금제 및 5G 가입자 증가 영향”

KT 로고.

KT 로고.

KT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희망퇴직에 따른 퇴직금 비용을 제외하면 두 자릿수에 가까운 성장을 보였다.

KT는 2024년 연결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0.2% 늘어난 26조4312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1998년 상장 이후 연간 최대치다.

영업이익은 8095억원으로 전년 대비 50.9% 감소했다. KT는 4분기 희망퇴직 등 인력 구조 개선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반영으로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밝혔다. 다만 일회성 인건비를 제외할 경우, 2024년 연결 영업이익은 1조8118억원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전날 같은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도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1조823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4% 증가한 수치다.

KT의 무선 사업은 전년 대비 1.3% 성장한 매출 6조9599억원을 기록했다. 온라인 무약정 요금제 ‘요고’ 등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하고 5G 가입자 수와 증가와 로밍 및 MNVO(알뜰폰) 사업이 성장한 게 영향을 미쳤다.

유선 사업 매출은 5조2688억원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구체적으로는 초고속인터넷 매출이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나 유선전화 매출이 가정 내 수요 감소로 인해 매출이 전년 대비 7.3% 줄었다.

미디어 사업은 IPTV 전체 가입자 순증과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 가입자 증가로 전년 대비 1.2%의 매출 성장을 이뤘다.

KT는 올해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겠다고 밝혔다. 기업가치 제고 차원이다.

KT는 “올해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AICT(인공지능·정보기술) 기업으로의 구조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저수익 및 한계 사업을 합리화해 수익성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상반기 내 출시하는 한국적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전략 고객을 집중 공략해 AI·클라우드 분야에서 수익 창출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