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친구 죽음 오해 없도록…아이들에 설명하고 모여서 슬퍼해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친구 죽음 오해 없도록…아이들에 설명하고 모여서 슬퍼해야”

대전 초등학생 피살…전문가 ‘애도 방법’ 조언

죽음, 완전히 이해할 수 없어
발달 단계 맞춰 설명해주고
힘들어하지 않게 잘 살펴야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김하늘양(8)을 살해한 사건은 학생과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충격을 안겼다. 김현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교수(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이사장)는 13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며 “어려운 일이 발생했을 때 흩어지는 게 아니라 같이 모여 슬퍼하고, 그 상황을 오해 없이 함께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교사와 학생을 위한 일종의 애도 안내서인 <선생님을 위한 애도 수업> 공저자인 김 교수는 “아이들이 친구의 죽음에 너무 과도하게 사로잡힌다든지, 죽음에 오해를 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 피해자가 초등학교 1학년이고, 친구들도 나이가 어리다.

“어른들이 아이에게 죽음을 잘 설명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들이 여기저기서 죽음에 관해 찾아본다든지, 친구의 죽음에 너무 과도하게 사로잡힌다든지, 죽음에 오해를 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아이들의 발달 단계에 맞춰서 설명해주는 게 중요하다. 초등 저학년은 죽음을 조금씩 이해하는 단계에 있다. 죽음을 완전히 이해하는 단계는 아니다. 대형 참사 등이 일어나면 어린이들에게 뉴스를 권고하진 않는다. 부모는 자녀가 직접 뉴스를 보는 것을 조절해줄 필요가 있다.”

- 사건을 받아들이는 편차도 클 것 같다.

“교사나 부모가 설명하고 함께 애도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않게 받아들이는 학생들을 발견할 수 있다. 어떤 아이들이 힘들어하는지, 이런 부분을 잘 파악해서 해당되는 아이들을 잘 도와주는 게 필요하다. 어려운 일이 발생했을 때 흩어지는 게 아니라 같이 모여 슬퍼하고, 그 상황을 오해 없이 함께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 교사의 충격과 고통도 작지 않은 것 같다.

“이번 사건으로 본인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잘 살피고 애도에도 나서고, 그다음에 교사들이 어떻게 해야 한다는 식의 뉴스에 휘둘리지 않았으면 한다. 교사 자신을 돌보는 게 우선이다.”

- 정부는 교육감이 교사의 질병과 관련해 직권으로 휴직을 명령할 수 있게 하는 등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응급조치의 차원에서, 교사들을 살펴보겠다는 취지라면 그런 조치를 하지 않을 순 없을 것 같다. 그런데 아주 단기적인 정책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하늘이 아버님도 심신미약 교사들이 치료받았으면 좋겠다고 했는데, 전반적인 교사들의 소진과 건강 상태를 제대로 돌볼 수 있어야 한다. 교사들 상태가 어떤지, 교사들의 정신건강이 안 좋다고 했을 때 지금까지 어떻게 대처해왔는지를 두루 살펴봤으면 한다.”

- 교육청이나 학교 단위에서의 애도와 대응도 중요해 보인다.

“교사가 학교를 옮기고 싶어 한다든가, 학생이 다른 데로 가고 싶어 할 수도 있는데 이런 때일수록 교육청과 교장선생님을 포함한 분들의 리더십이 중요하다. 정부나 교육청, 지자체에선 학교의 회복에 관해 모든 것을 지원해야 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