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지사가 14일 오전 광주경영자총협회에서 ‘호남정신과 유쾌한반란’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지사는 14일 “민생회복지원금을 주는 것은 찬성이지만 전 국민에게 똑같이 25만원씩 나눠주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광주경영자총협회 특강에서 “어제 다행스럽게도 민주당에서 추경안을 발표했다”면서도 민생회복지원금 부분에서는 다른 입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35조 추경 규모를 이야기했고 그중에 민생회복이 24조, 그리고 경제활성화에 11조 투자를 주장했다”면서 “조금 늦은 감은 있지만, 제가 얘기했던 것과 비슷한 얘기를 해서 정말 기뻤다”고 했다.
다만 김 지사는 민생회복지원금 지원 방식에 대해선 다른 의견을 밝혔다. 김 지사는 “똑같이 25만 원씩 나눠주는 것에 대해서는 두가지 문제가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그 방법보다는 더 힘들고 어려운 계층에 보다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하자”면서 소득분위 25% 이하에게 민생회복지원금 100만원을 주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취약계층일수록 한계소비성향(소득이 올라가면 돈을 쓰는 비율)이 높다”면서 “부자들은 소득 늘어난다고, 그 돈을 소비하지는 않는다. 취약계층이나 중산층은 소비를 할 확률이 높다”고 했다.
김 지사는 민주당이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지원’ 카드를 다시 꺼낸 것은 정책의 일관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추경을 위해서는 민생회복지원금 25만 원을 양보 내지 철회할 수도 있다고 했는데 결국 끼워넣었다”면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과 붙었다고 하는 것은 민주당이 그만큼 신뢰를 주고 있지 못하다는 것인데 일관되게 우리 입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이날 강연에서 “1980년 이후 우리나라 경제가 1%대 또는 그 이하의 성장률을 기록했을 때가 여섯 번있었는데 그 중 두 번이 윤석열 정부 기간”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외신이 윤석열 대통령을 가리켜 ‘GDP KILLER’라고 언급한 사실을 인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