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상반기 제조업 고용 전망은?···조선·반도체·자동차 늘고 섬유 감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상반기 제조업 고용 전망은?···조선·반도체·자동차 늘고 섬유 감소

울산 HD현대중공업 조선소 전경. HD현대중공업 제공

울산 HD현대중공업 조선소 전경. HD현대중공업 제공

한국고용정보원은 상반기 제조업 중 조선·반도체·자동차 업종에서 고용이 증가하고, 섬유 업종에서 고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용정보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고용정보원은 기계, 조선, 전자 등 주요 제조업 10개 업종의 고용 전망을 매년 상·하반기 내놓고 있다.

조선 업종의 고용 증가율이 4.1%(전년 동기 대비)로 가장 높았다. 고용정보원은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증가하고 업황 회복에 따른 수주잔량을 유지할 것”이라며 “국내 조선소 건조량은 전년 대비 18% 이상 증가하고, 선박류 수출액은 약 255억달러로 전년 대비 9.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반도체 업종 고용 증가율은 2.3%로 전망됐다. 고용정보원은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로 인한 수요 개선과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 시장 호황 등으로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며 “설비 투자가 전년보다 7.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자동차 업종 고용은 1.6%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고용정보원은 “2025년 상반기 내수 및 수출이 소폭 축소되지만, 다양한 신모델 출시와 하이브리드 중심의 친환경차 확산 등으로 고용이 전년 상반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섬유 업종에서는 고용이 2.3%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고용정보원은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와 OEM(주문자 위탁생산)기업의 생산시설의 해외 이전으로 수출 및 생산 감소세가 지속되고,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했다.

기계·전자·철강·디스플레이·금속가공·석유화학 업종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