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진흥원·고용정보원,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전년 동기보다 조선·반도체·자동차 증가…섬유 감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제공
올해 상반기 조선·반도체·자동차 업종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보다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언급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조선업의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한국고용정보원이 17일 발간한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보고서를 보면, 조선업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4.1% 늘어난 약 5000명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세계 경기 하방 기조에도 친환경 선박 수요가 지속해 추가 수주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반도체와 자동차도 지난해 상반기보다 3000명(2.2%), 6000명(1.6%) 수준으로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세계 경기 회복 기대로 인한 수요 개선과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 시장 호황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반도체 업종의 고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할 것”이라며 “자동차 업종은 내수 및 수출이 소폭 축소되지만, 다양한 신모델 출시와 하이브리드 중심의 친환경차 확산 등으로 고용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섬유 업종 일자리는 가장 많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와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기업 생산시설의 해외 이전 등으로 수출 및 생산 감소세가 지속하고,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내수 부진의 영향을 받아 섬유업 일자리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4000명(2.3%) 줄어들 전망”이라고 밝혔다.
기계·전자·철강·디스플레이·금속가공·석유화학 업종은 지난해 고용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고 분석됐다. 석유화학 업종의 경우 업황 불황에도 대기업 중심으로 구성된 업종 특성상 고용이 4000명(1.4%) 증가하는 등 현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관측됐다. 이 보고서는 고용보험 피보험자 자료 등을 토대로 두 기관이 공동으로 연구한 것으로, 반기마다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