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타고 치솟는 홍콩 증시···트럼프 관세전쟁에도 파죽지세

김경민 기자
딥시크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딥시크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지난 4년간 부진했던 홍콩 증시가 중국의 인공지능(AI) ‘딥시크’ 효과에 힘입어 올해 들어 가파르게 반등하고 있다. 예상보다 ‘순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안으로 시장이 안도한 가운데,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이 ‘AI독점’ 지위를 지켜온 미국의 대체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작용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홍콩의 대표 주가지수인 항셍지수는 올해 들어 12.76%(14일 기준) 상승했고, 홍콩 증시 우량종목만 모은 홍콩H지수는 14.28%나 올랐다. 지난 4년간 26%(2020년말 대비 2024년말)나 추락하며 국내에서 대규모 ELS손실사태를 촉발했던 홍콩 증시가 올해엔 달라진 흐름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했음에도 코스피(+7.98%), 대만 가권(+0.51%), 일본 닛케이225(-1.83%) 등 주변국은 물론 미국 나스닥지수(+3.71%)보다 홍콩 지수는 압도적인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딥시크’타고 치솟는 홍콩 증시···트럼프 관세전쟁에도 파죽지세

홍콩 증시의 강세는 중국의 AI 딥시크에 힘입어 움츠렸던 중국 기술주가 초강세를 보인 영향이 크다. 중국의 기술주가 집중되어 있는 홍콩 증시는 텐센트 등 중국의 대형 기술주가 잇따라 딥시크를 탑재하거나 AI 활용계획을 밝히면서 수혜 기대감에 크게 반등한 것이다. 실제로 알리바바, 텐센트, 레노버, 샤오미, 비야디(BYD) 등은 딥시크의 등장이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한 지난달 24일부터 3주간 주가가 약 30% 내외 치솟으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반면, 엔비디아, 알파벳(구글), 테슬라, 아마존 등 미국의 빅테크는 딥시크 출범 전보다 주가가 하락한 상태다. 그동안 AI패권을 장악해 주가가 과열될 정도로 오른 미국 빅테크에겐 어려운 여건이지만 딥시크를 힘에 업은 중국 기술주엔 저렴했던 주가와 더불어 새로운 기회가 찾아온 셈이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딥시크로 인해 혁신이 미국 빅테크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인식되기 시작했다”며 “중국 기술 업체들의 가치 대비 시가총액은 미국 업체들에 비해 낮다”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가 취임 전 예고했던 60%가 아닌 10%의 관세만 부과하는 등 대중 제재 수위도 예상보다 낮은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자국 기술기업에 대대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주가가 단기간 급등했고, 중국의 고질적인 부채 문제와 보호무역주의도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