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연 ‘저출생 극복’ 보고서
“노동자 4명 중 일·생활 균형 어려워
노동시간 주 35시간으로 단축해야”

경기도청. 경기도 제공
노동자 4명 중 1명은 장시간 일하는 문화와 과도한 업무량 탓에 일생활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한 자녀만 둔 가구에서 1시간 가량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둘째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18일 이런 내용의 ‘저출생 극복, 근로시간 단축과 일생활균형 확보부터’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 작성을 위해 경기연구원은 전국 20~59세 노동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일생활균형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성의 26.1%, 여성의 24.6%는 장시간 일하는 문화와 과도한 업무량을 일생활균형을 이루는 데 가장 어려운 이유로 꼽았다.
이는 2030 여성에게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20대 여성의 39.3%가, 30대 여성의 31.5%가 장시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탓에 일생활균형을 이루는 것이 어렵다고 답했다.
노동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노동시간과 실제 노동시간은 1시간 가량 차이를 보였다. 하루 24시간 중 남성은 8.3시간을, 여성은 7.5시간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시간으로 응답한 시간은 남성과 여성 각각 7.2시간, 6.5시간이었다. 평균적으로 남성은 66분, 여성은 60분 가량 노동시간 단축을 희망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희망하는 노동시간과 실제 노동시간의 격차는 출산과 양육의 주 연령대인 30대 맞벌이 가구에서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해당 가구에서 남성은 84분, 여성은 87분 노동시간 단축을 희망하고 있었다.
또 자녀가 1명인 가정에서 68분 가량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출산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없는 가정에서는 49분으로 나타났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응답자의 실제 하루 근로시간과 희망하는 근로시간과는 한 시간이라는 차이를 보였다”면서 “무엇보다 젊은층 맞벌이와 자녀가 있는 경우 그 차이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주 40시간인 현행 법정 근로시간을 주 35시간으로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특히 육아기 자녀를 돌보는 근로자를 대상으로는 단축 시간을 더 늘리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