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 담당 차관보가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공동취재단
미국을 방문한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 담당 차관보는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와 관련해 “미국 이야기를 잘 듣고 우리 입장과 의견을 잘 설명해 양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논의의 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 차관보는 이날 워싱턴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은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경제 협력 상대국”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방침이 공식화된 이후 한국 정부 고위 당국자가 대미 협의를 위해 방미한 것은 처음이다.
박 차관보는 미국이 3월12일부터 부과하기로 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와 관련해 한국에 대한 예외를 요청했는지에 대해선 “(미국 측과의) 협의가 예정돼 있으니 다 끝난 다음에 정리해서 언급하겠다”고만 답했다.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 기준으로 비관세 장벽까지 고려할 것이라고 예상했느냐는 질문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취임 직후 발표한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에 나와 있었다”며 그동안 이를 예상하고 대비해왔음을 시사했다.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한국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 미국의 모든 교역 상대국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더더욱 우리나라도 미국과 조심스럽게 협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차관보는 또한 한·미 간 협의가 이어질 것이라며 “저뿐만 아니라 더 고위급 인사들이 협의할 기회가 조만간 생기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르면 4월2일쯤인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및 자동차 관세 계획 전에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방미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차관보는 트럼프 행정부 및 의회 인사들을 만나 상호관세와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포함한 통상 현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또한 미 당국에 한국 기업들이 대미 투자 사업을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일관된 정책 환경을 조성해달라고 당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