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전북 임실군 육군 제35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 진행된 고 김범수 대위의 21주기 추모식에서 김광석 35사단장 등이 고인의 흉상에 경례하고 있다. 육군 35사단 제공
훈련병이 던지지 못한 수류탄을 가슴에 품고 산화한 고 김범수 대위의 21주기 추모식이 18일 오후 전북 임실군에 있는 육군 35사단에서 이뤄졌다.
이날 추모식에는 유가족과 사단 장병, 부사관학교장, 전북 동부보훈지청장 등 150여 명이 참석해 헌화와 분향, 묵념을 통해 고인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렸다.
학군장교 40기로 임관한 김 대위는 신병교육대대 소대장으로 근무하던 중 2004년 2월 18일 사단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교육장에서 순직했다. 그는 당시 한 훈련병이 안전핀을 분리한 수류탄을 던지지 못하고 바닥에 떨어트리자, 자신의 품 안에 끌어안고 숨졌다.
김 대위의 희생으로 현장에 있던 다른 훈련병과 교관 등 250여 명은 무사할 수 있었다. 사단은 스물다섯 살에 숨을 거둔 김 대위의 군인정신을 기리기 위해 신병교육대대 강당 이름을 ‘김범수관’으로 지었다. 또 부대 역사관에 추모공간을 마련하고 해마다 추모식을 거행하고 있다.
- 정치 많이 본 기사
육군은 군에 헌신한 영웅을 예우하기 위해 참모총장 명의로 ‘김범수상’을 제정, 오는 3월 제1회 시상식을 시행한다. 김범수상은 육군 주관으로 선발하여 포상하는 유일한 살신성인상으로, 부대별 추천 및 심의를 거쳐 14명을 선정할 예정이다.
김광석 35사단장은 추모사를 통해 “고인의 고귀한 살신성인 유산을 본받아 앞으로도 군 본연의 임무에 정성을 다하고 조국을 위해 더욱 헌신해나가겠다”며 “전우들을 구하기 위해 한 치의 망설임 없이 자신의 몸을 던졌던 영웅인 고 김범수 대위는 우리의 기억 속에 영원히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