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9차 변론이 진행된 18일 여성단체들이 “성평등한 사회가 민주주의 보루”라며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7개 지부·29개 회원단체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이상 성평등 후퇴는 없다. 헌법재판소는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라고 요구했다. 현장에 모인 여성단체 활동가 40여명은 “내란을 끝내고 성평등 민주주의 지켜내자” 등 구호를 외쳤다.

한국여성단체연합 관계자들이 18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더이상 성평등 후퇴는 없다, 헌법재판소는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정효진 기자
이들은 그간 윤 대통령이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고 말하며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을 발표하거나 젠더폭력 피해자 예산을 삭감하는 모습 등을 보며 “현재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헌정질서 파괴와 심각해지는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예감했다”고 말했다.
또 “성평등 사회 실현을 요구하는 여성과 소수자들의 존재를 지우려 했던 윤석열 정권은 급기야 혐오와 차별, 폭력의 언어로 민주주의 체계를 부정하고 있다”며 “윤석열 탄핵 이후 성평등한 민주주의 사회는 단단하게 시작돼야 한다”고 했다.
송란희 한국여성의전화 상임대표는 “윤석열 정권은 지난 1년간 여가부 장관을 임명하지 않는 전례 없는 조치로 사실상 여가부 폐지를 실현했다”며 “위법한 계엄령 선포로 탄핵심판이 시작됐지만 윤석열은 이미 그 전부터 위헌적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 구성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국가 기능을 마비시키고 차별과 폭력을 방치한 책임을 더는 용납 할 수 없다”며 “헌재가 공식 선언을 할 차례”라고 말했다.
[플랫]“부서 간 조율 다 거쳤는데… 대통령실 반대 분위기에 ‘비동의 강간죄 검토 철회’
[플랫]6개월째 장관 없는 ‘여가부’, 넓어지는 ‘정책 사각지대’

한국여성단체연합 관계자들이 18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더이상 성평등 후퇴는 없다, 헌법재판소는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정효진 기자
배진경 한국여성노동자회 대표는 “‘정부 돈으로 시민단체를 먹여 살리면 안 된다’는 윤석열 정부 기조 아래 대대적인 시민단체 지원예산 삭감이 있었다”며 “민간고용평등상담실 예산을 전액 삭감해 1000만 여성 노동자들의 마지막 보루를 없애고 절벽 끝에서 밀어버렸다. 부디 헌재가 윤 대통령을 파면해 사회정의와 민주주의를 복원하는 길을 열길 바란다”고 말했다.
[플랫]유엔 ‘여가부 폐지’ 지적에…“성평등 축소 아니다”만 반복한 정부
최희연 한국여성민우회 공동대표는 “윤석열은 ‘감당할 수 있는 재정을 넘어서는 사회보장서비스는 사회를 갉아먹는다며 사회보장서비스도 시장화·산업화·경쟁체제가 돼야 한다’고 했다”며 “돌봄 중심 사회로의 변화를 더이상 미룰 수 없고 제일 먼저 제거돼야 할 것은 윤석열이다. 12·3 비상계엄으로 극에 치달은 시민들의 불안을 헌재는 엄중히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 김송이 기자 songyi@kha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