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폰 RCS 메시지 모습. 애플 홈페이지
올 하반기 애플 아이폰에도 차세대 문자 전송 서비스(RCS)가 도입돼,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과 채팅 형식의 문자메시지 주고받기나 대용량 파일 전송이 가능해진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애플에 대해 아이폰에도 RCS를 도입해 이용자 불편이 해소될 수 있도록 권고하는 행정지도를 했다고 19일 밝혔다.
RCS는 이동통신사의 단문 메시지(SMS)나 장문 메시지(MMS)보다 발전된 것으로, 대용량 파일 전송이나 ‘작성 중’ ‘읽음’ 표시 등의 채팅 기능 등을 지원하는 문자 서비스다. 현재는 갤럭시폰 이용자 간에만 적용되고 있다.
방통위는 이날 애플에 올 상반기 내 이통3사가 RCS 기능을 점검할 수 있도록 베타 버전(시험용 제품) 아이폰 운영체제(iOS)를 배포하고, 서비스 도입 과정에서 통신사들과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하도록 권고했다. 기존 아이폰과 갤럭시폰 간 문자메시지를 통한 파일 전송은 최대 용량 1MB인 장문 메시지로 구동됐으나, 아이폰이 RCS 기능을 지원하게 되면 최대 300MB의 대용량 파일 전송도 가능해진다.
방통위는 “애플은 아이폰 이용자들의 편익 증진을 위해 올 하반기까지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이 RCS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RCS는 구글과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개발·채택한 국제 표준 메시지 규격이다. 애플은 자체 메시지 서비스인 ‘아이메시지’를 이용하면서 RCS를 채택하지 않았는데, 해외에서 안드로이드폰 이용자 차별 이슈가 불거지면서 RCS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국내에선 2019년 이통 3사와 삼성전자가 협력해 RSC 기반 문자서비스 ‘채팅+(플러스)’를 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