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주춤, 엔화·유로화 강세···원화는?

김경민 기자

원·달러 환율 19일 종가 1438.5원

지난달 24일 이후 1440원 밑으로 처음

원화, 안정화 전망 조심스럽게 제기

1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위·변조 대응센터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위·변조 대응센터 직원이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세등등’하던 미국 달러의 위세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 그동안 위축됐던 유럽, 일본 등의 경제가 조금씩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코스피 등 부진했던 미국 이외 증시들도 일제히 반등하면서다. 여전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위협적이지만, 원·달러 환율도 점차 안정을 찾을 것이란 관측이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19일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5.2원 내린 달러당 1438.5원에 주간거래를 마쳤다. 환율 주간종가가 1440원 밑으로 내려온 것은 지난달 24일(1431.3원) 이후 처음이다.

이날 오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월부터 미국이 수입하는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원화는 오히려 절상된 흐름을 보였다. 코스피 지수도 1.70% 급등한 2671.52에 거래를 마치면서 7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 5개월 만에 최고 종가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자금이 미국에 쏠리면서 미국 증시와 달러가 강세를 보여왔다면, 올해엔 위축됐던 비 미국 통화와 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등 금융시장의 흐름이 180도 바뀐 모습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전 관세안 등 정책 불확실성 우려를 반영해 정점을 찍었던 달러가 이후엔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 지수는 지난달 13일(현지시간) 110을 넘겼으나 최근 106 중후반까지 내려온 상태다. 트럼프의 관세안의 경우 이미 시장이 어느 정도 적응한 데다, 오히려 트럼프 정부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종전 추진으로 지정학적 위기가 해소될 수 있다는 것도 달러 약세 요인으로 꼽힌다.

반면 엔화와 유로화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달러당 157엔 선까지 밀렸던 엔화는 최근 151엔 선까지 반등했고, 유로화도 유로당 1.01달러 선까지 떨어졌으나 1.04달러 수준까지 올랐다. 일본과 유럽 경제가 반등 조짐을 보인 영향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 이외의 경제가 회복 모멘텀을 보이고 딥시크 이후 신흥자산 선호가 강해지면서 달러화 추가 약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원화의 경우, 한국은행이 2월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한·미 금리 차가 확대돼 원화가 약세를 보일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트럼프 정책의 충격 축소 등으로 강달러 압력 완화로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은 달러인덱스의 점진적인 하락 기조와 연동돼 연내 1300원대로 하락하는 상고하저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Today`s HOT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북마케도니아 클럽 화재, 추모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산불이 일어난 후 쑥대밭이 된 미 오클라호마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가자지구에서 이프타르를 준비하는 사람들 최소 6명 사망, 온두라스 로탄에 비행기 추락 사건 220명 사망, 휴전 협상 교착 상태서 공습 당한 가자지구 케냐를 국빈 방문한 네덜란드 국왕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