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SK바이오팜 등 업계 촉각…‘CMO 업체 이전’ 대응
관세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의약품 산업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폭탄’을 예고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다. 관세는 1년에 걸쳐 훨씬 더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바이오 기업 셀트리온은 19일 자사 홈페이지에 게시한 글에서 “올해 미국에서 판매할 예정인 제품의 원료의약품(DS) 9개월분을 현지 위탁생산(CMO) 업체에 이전한 상태”라며 “관세 부과 시 완제의약품(DP)보다 세 부담이 낮은 원료의약품 수출에 집중하고 필요시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금보다 더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를 캐나다 CMO 업체 등을 통해 미국에 수출하는 SK바이오팜은 향후 캐나다에 관세 부과가 확정되면 미국 현지 CMO 업체를 이용하는 조치 등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는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과 유럽 비중 수출이 약 90%를 차지한다.
반면 지난해 얀센에 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글로벌 개발·판매 권리(국내 제외)를 기술 수출한 유한양행은 관세 리스크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것으로 보인다. 얀센에서 렉라자를 직접 생산·유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트럼프의 기조 자체가 미국에서 유통되는 약 가격을 내리겠다는 것인 만큼 의약품 관세 카드는 자국에 들어와 공장을 짓고 생산하라는 메시지”라며 “미국에 의약품을 수출하거나 진출하려는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은 득실을 따져봐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