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률 30%…학교서 외면당한 ‘AI 교과서’

김원진 기자

대부분 효과성 검증·준비 부족 우려…“보조 자료 수준”

종이 교과서와 발행사가 달라 불편…완성도에 의문도

교육부가 올해 1학기 초중고교 일부 학년에 자율도입하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의 학교별 신청률이 30% 수준으로 집계됐다. AI 교과서를 채택하지 않은 학교 내부 회의에선 효과성 검증과 준비 부족을 비롯해 “서책형(종이) 교과서와 AI 교과서 출판사가 달라 사용이 어렵다” “기존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AI 교과서가 유사하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됐다.

교육부는 19일 학교별 AI 교과서 신청률이 30%를 넘었다고 밝히면서 “최종 시점까지 조금 더 신청 학교가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AI 교과서는 초중고교 일부 학년의 영어·수학·정보 과목에 도입되는데, 교육부는 AI 교과서를 한 과목만 도입해도 ‘신청 학교’로 분류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서 받은 지역별 현황을 보면, 지난 14일 기준 서울(24.4%)·세종(7.6%)에서 신청률이 낮았다. 반면 경기(43.5%)·대구(98.3%)는 AI 교과서 신청률이 높은 편이었다.

경향신문이 입수한 전국 20개 초중고교의 교과협의록과 학교운영위원회 회의록을 보면, 교사와 학부모들이 AI 교과서를 채택하지 않은 여러 이유가 담겼다. AI 교과서 채택 여부는 교사들의 교과협의회와 학부모도 참석하는 학운위를 거쳐 결정된다.

대부분 학교는 효과성 검증·준비 부족을 가장 우려했다. 경기 용인 A초교는 ‘AI 교과서는 현재 교과 보조 자료 정도의 수준으로 교과서로서의 효과성 검증 미비’를 이유로 들었다.

서울 성동구 B초교는 ‘교내 서버 기능 부족 등 디지털 사용 환경 인프라 구축 미흡’을 거론했다.

기존 종이 교과서와 AI 교과서의 발행사가 다른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충북 음성 한 초등학교에서는 ‘종이 교과서와 AI 교과서의 출판사가 달라 수업시간 활용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 한 초등학교에서도 ‘종이 교과서를 먼저 선정한 뒤 AI 교과서를 선정해 부득이 출판사가 다르게 선정돼 유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초등 수학 AI 교과서는 검정을 통과한 출판사가 두 곳뿐이다.

AI 교과서의 완성도에 의문을 표한 경우도 많았다. 서울·경북·전북·제주의 학교에선 ‘종이 교과서 및 에듀테크 활용 수업과 큰 차별점이 없어 보인다’ ‘AI 교과서는 기존 멀티미디어 자료 수준’ ‘AI 기반 학습보다는 원어민 교사와 직접적 상호작용을 통한 수업이 더욱 효과적일 것’등 의견이 나왔다.

예산 낭비를 걱정한 교사와 학부모도 많았다.

제주의 한 초등학교에선 ‘개인별 디지털교과서의 비싼 구독료를 감안한다면 국가 예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도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했다. 경기 남양주의 한 고등학교에서도 ‘과도한 구독료가 걱정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새 학기 시작이 2주 앞으로 다가왔지만 교육부는 AI 교과서 구독료 산정을 마치지 못했다. AI 교과서 도입이 의무에서 자율로 바뀐 뒤 교과서 회사들이 “이익을 보전해달라”고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월 말에는 구독료 협상을 회사별로 순차적으로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전사자들을 잊지 않고 추모하는 시민들 최소 37명 사망.. 토네이도로 인한 미시시피주 모습 화창한 날, 멕시코 해바라기 밭에서의 사람들 로스앤젤레스 항구 그랑프리에 참가한 각국 팀들
나폴리서 규모 4.4 지진, 새벽부터 놀란 시민들 뉴욕 슈퍼 웰터급 복싱 경기 우승자, 칼럼 월시
갑작스런 토네이도로 아수라장된 피코 리베라 영국에서 열린 '성 패트릭 데이'
기차를 끌어 기네스 인증 받은 레슬링 선수 마흐루스 이스라엘 유대인들을 위한 명절, '푸림' 마이애미 비치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월식 전의 보름달, 관람하고자 모인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