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한민국 ‘탄소중립’ 현주소
대응 시간·비용 ‘걸림돌’ 꼽아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제조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92.8%가 ‘기한 내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는 답이 50.2%였고,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2.6%였다.
온실가스 의무 감축 대상 기업 200곳 중에서도 ‘기한 내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는 답이 86.0%에 달했다. 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46.5%였고,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라는 답이 39.5%였다.
한국은 ‘파리협정’에 따라 5년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오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올해는 이보다 더 높은 수준의 2035년 감축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중소기업들은 탄소중립 대응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 탄소중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51.2%), 자금·인력 부족(31.2%),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23.2%) 등을 들었다. 특히 탄소중립으로 인해 추가로 드는 비용에 대해선 84.8%가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
탄소중립 이행에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노후시설 교체 비용 지원이 50.4%로 가장 많이 꼽혔다. 에너지 효율 향상 기기 도입 지원(26.2%), 중소기업 차등 전기요금제 마련(22.6%) 등이 뒤를 이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확대됐으나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재정적 여력이 부족하다”며 “노후 시설을 교체하거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비를 도입하는 데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탄소중립 대응 수준이 상이한 만큼 업종별 협동조합 등을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